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지난주 웹3 생태계 보안 사고 피해액 2만4000 달러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5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지난주 해킹 피해를 입은 웹3 생태계 기업들 / 슬로우미스트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 = 지난주 해킹 피해를 입은 웹3 생태계 기업들 / 슬로우미스트 홈페이지 갈무리

[지난주 웹3 생태계 보안 사고 피해액 2만4000 달러]

지난주 웹3 생태계가 보안 사고로 인해 2400만 달러(한호 약 307억5120만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1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슬로우미스트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지난주 웹3 생태계는 보안 사고로 약 2400만 달러 상당의 피해를 입었다"고 분석했다.

[홍콩핀테크협회장 "'미국 탈출' 암호화폐 기업들, 홍콩에 주목"]

홍콩핀테크협회장 닐 탄(Neil Tan)이 포캐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다른 국가들은 개인 투자자의 가상자산 투자를 제한하려 하지만, 홍콩은 이와 반대로 가고 있다. 이는 미래에 홍콩이 '가상자산 허브' 역할을 맡게 될 것임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 기업들은 미국의 까다로운 규제를 피해 크립토 친화적 국가를 물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탄탄한 자본시장을 보유하면서 중국의 관문 역할을 맡고 있는 홍콩이 주목받고 있다. 홍콩은 그야말로 국경을 넘나들며 암호화폐 비즈니스를 펼칠 수 있는 모래판(규제 샌드박스)이나 다름없다. 이제 우리의 경쟁국은 두바이와 싱가포르 정도뿐"이라고 강조했다.

[데이터 "전날 USDT 시총 4억 달러 이상 급감"]

코인게코에 따르면, 18일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 시가총액이 4억 달러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16시경 USDT 시총은 약 835.2억 달러에서 16시 35분 경 약 831억 달러까지 감소했다. 지난주 미국 뉴욕 검창총장실(NYAG)은 테더의 준비금 구성 관련 자료를 공개했으며, 블룸버그 등 메이저 언론들은 테더의 중국 국영은행 기업어음(CP) 보유를 문제삼은 바 있다. 이에 테더는 해당 데이터는 2년도 더 된 옛날 일이라며 지금은 USDT 준비금으로 기업어음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해명했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6/19 미국 노예해방일 휴장

-6/20 1015 중국 대출우대금리, 1930 연준 불라드 연설

-6/21 0045 연준 윌리엄스 연설, 2300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6/22 0040 연준 굴스비 연설, 0500 연준 메스터 연설, 21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300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6/23 0530 연준 바킨 연설, 1815 연준 불라드 연설, 2100 연준 보스틱 연설, 2245 미국 6월 제조업·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6/24 0240 연준 메스터 연설

[중앙화거래소 일평균 현물 거래량 1/8 이후 최저]

더블록 데이터에 따르면 중앙화 거래소(CEX)의 일일 평균 현물 거래량(7일 이동평균)이 130억 달러를 하회해 지난 1월 8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17일 기준 128.8억 달러 수준이다.

[오디널스 모방 이더스크립션, 출시 18시간 만에 3만개 민팅]

디크립트에 따르면 지니어스닷컴의 공동창립자이자 전 CEO인 톰 리먼(Tom Lehman)이 "토요일(현지시간) 이더스크립션 출시 후 18시간 만에 3만 개가 민팅됐다"고 전했다. 이미지 같은 비재무적 데이터를 새기는 이더스크립션(Ethscriptions)은 비트코인 오디널스 인스크립션(Inscriptions)의 이더리움 버전이다. 96KB 미만 모든 유형의 파일을 새길 수 있다. 지금은 이미지만 넣을 수 있다. 크립토펑크 사본 이미지 1만개가 새겨지기도 했다. 자칭 NFT 고고학자 애먹 맥브라이드(Adam McBride)는 "오디널스와 마찬가지로 이더스크립션의 흥미로운 점은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다시 실험하고 있다는 점이다. 혁신과 채택을 촉진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실험"이라고 평했다.

['월가 베테랑' 조시 브라운 "비트코인 혹한기 아직 안끝나"]

월가 베테랑 조시 브라운 리트홀츠 자산운용 최고경영자(CEO)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제 리스크 여파로 비트코인(BTC)을 둘러싼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암호화폐 시장은 아직 혹한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고 한국경제가 전했다. 그는 "BTC는 지난해 약세장에서 벗어나 올해 50% 이상 반등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전통 은행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면서 암호화폐가 대안으로 떠올랐지만, 지난 3개월 동안 당국의 규제 리스크, 유동성 이탈, 상승 촉매제 부족 등으로 투자심리가 꺾였다. 대부분의 암호화폐 거래가 여전히 투기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점도 암호화폐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BTC 가격이 언젠간 원래 수준으로 돌아가겠지만 당분간은 혹한기에 갇혀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신 "디스코드 암호화폐 피싱 주의보...9개월간 $7,300만 피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펙실드, 듄 애널리틱스 등의 데이터를 인용 "최근 디스코드 서버 해킹을 통한 암호화폐 피싱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9개월간 최소 32,000 개의 지갑이 디스코드 피싱에 피해를 입었으며, 공격자들은 약 7,300만 달러 상당의 NFT 및 토큰을 갈취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19일 보도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9개월간 해킹에 노출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관련 디스코드 서버는 약 900개다. 공격자들은 암호화폐 미디어 소속 기자를 사칭하거나 드레인 코드를 유통시켜 디스코드 서버의 통제권을 가져왔고, 저소득 국가 시민들의 개인정보를 도용해 거래소에서 갈취한 토큰을 현금화하는 수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라이도 외 디파이 상위 10개 프로토콜서 TVL 일제 감소]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이달 18일 기준 지난 한 달 동안 디파이에 예치된 암호화폐 자산(TVL) 규모 상위 10개 프로토콜 가운데 라이도(LDO)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TVL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라이도는 6.75% 늘었고, 메이커다오(MKR)는 16.8%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또 디파이 TVL은 총 42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이더리움(ETH)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TVL은 248억 7000만 달러 규모로, 전체의 58%를 차지하고 있다.

[이탈리아 현지 은행 18곳, 분산원장 기반 도매용 CBDC 시범 운영]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렛저인사이트에 따르면, 18곳의 이탈리아 현지 은행들이 분산원장 기반 도매용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시범 프로젝트인 '레오니다스'(Project Leonidas)에 참여한다. 18곳의 은행은 모두 이탈리아은행협회(ABI)의 회원사이며, 레오니다스 프로젝트는 유럽중앙은행(ECB)이 분산원장의 기능을 테스트해보기 위해 선정한 14개 프로젝트 중 하나다.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중앙은행은 분산원장과 CBDC 기술이 도매 결제 분야에서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볼 계획이다. 시범 운영 결과에 따라 분산원장 기반 CBDC의 사용 여부, 기존 중앙은행 결제 시스템에 분산원장 기술 도입 여부 등이 결정된다.

[호주 거래소 인디펜던트 리저브, 홍콩 사무소 설립 추진]

포캐스트에 따르면 호주 암호화폐 거래소 인디펜더트 리저브(Independent Reserve)가 홍콩 내 사무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인디펜던트 리저브 측은 "사무소는 이르면 수개월 내 설립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인디펜던트 리저브는 홍콩 규제당국에 거래소 운영 라이선스도 신청할 계획이다. 홍콩은 자본시장이 매우 발달한 글로벌 금융 허브로, 더 큰 시장인 중국으로 가는 길목이라고 우리는 판단하고 있다. 최근 진출한 싱가포르는 자본시장이 역동적이기 보다는 다소 보수적인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홍콩은 자본을 적극적으로 위험자산에도 투자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홍콩 시장 진출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주 $440만 ID 언락]

토큰언락(Token Unlocks)에 따르면 이번 주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EUL: 6/22 3:39 147,848개 언락, $23만, 총 발행량의 0.544%

ID: 6/22 9:00 15,152,777개 언락, $440만, 총 발행량의 0.758%

ACA: 6/25 9:00 4,657,534개 언락, $18만, 총 발행량의 0.466%

[전날 베이비도지 DEX 출시]

베이비도지는 전날 밤 DEX 애그리게이터 베이비도지스왑 출시를 발표했다. 법정화폐 암호화폐 매수, 스테이크, 팜 등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7...투심 소폭 위축]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2 포인트 내린 47을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위축됐지만 중립 단계는 유지됐다. 지난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전 코인베이스 CTO "애플 등 빅테크, 국가 명령 시 암호화폐 압류 도울 수 있다"]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전 코인베이스 CTO 발라지 스리니바산(Balaji Srinivasan)이 임팩트 띠어리(Impact Theory) 팟캐스트에 출연해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은 국가가 암호화폐 압류를 명령할 경우 기술적으로 이를 도울 수 있다. 이들 기업은 운영체제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애플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구글은 구글클라우드 드라이브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에 접근할 수 있다. 국가가 명령하면 이들은 개인 하드 드라이브에서 프라이빗 키를 스캔해 암호화폐를 가져갈 수 있다"고 말했다.

[법원 "가상자산, 최고이자율 제한 대상 아냐" 재확인]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대부업법과 이자제한법에 따른 이자율 상한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서울고법 민사17-2부는 가상자산 핀테크 업체 A사가 B사를 상대로 낸 가상자산 청구 소송 2심에서 1심과 같이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앞서 2020년 10월 A사는 B사에 비트코인 30개를 6개월간 빌려주고 매월 이자를 받는 대여 계약을 맺었다. 변제 기한이 지났는데도 B사가 빌려 간 비트코인을 돌려주지 않자 A사는 소송을 냈다. B사는 A사가 이자제한법·대부업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2심 재판부는 "이 계약의 대상은 금전이 아닌 비트코인이므로 최고이자율을 제한하는 이자제한법과 대부업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카이코 "USDC, 중앙화 거래소에서 가장 유동성 높은 스테이블코인"]

카이코는 "USDC는 중앙화 거래소(CEX)에서 가장 유동성이 높은 스테이블코인이다. 약 $3800만 매수(bids)에 가격차이는 0.1%다. 이론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은 페그를 유지하지만, 현물 시장에서도 디페깅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USDT 환매가 $10만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따라서 스테이블코인 현물 시장은 가격 발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전날 전했다.

[영국 은행 냇웨스트, 2000파운드 초과 암호화폐 거래소 출금건에 사전통지 의무화]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영국 대형 은행 냇웨스트(NatWest)는 2000파운드를 초과하는 현금, 암호화폐 거래소 출금건에 대해 고객의 사전 통지를 의무화 하는 새 정책을 도입했다. 사전 통지는 출금 24시간 전 이뤄져야 한다. 경우에 따라 고객은 출금 사유와 직불카드 및 핀번호, 신분증, 결제 인보이스 등을 제출해야 한다. 냇웨스트는 지난 3월 암호화폐 거래소 사용자의 일일 최대 이체 한도를 1000파운드, 30일 최대 이체 한도를 5000파운드로 설정한 바 있다.

[바이낸스 CEO, 명예훼손 피소 ZachXBT에 $5만 기부]

마치 빅 브라더 (Machi Big Brother)로 불리는 BAYC 계열 NFT 고래이자 대만 유명 가수인 제프리 황(Jeffrey Huang)이 블록체인 탐정 잭XBT(ZachXBT)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면서 ZachXBT가 소송 비용 충당을 위한 모금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전날 "바이낸스는 $5만을 기부할 예정이다. 업계 투명성을 위해 계속 싸워달라"고 밝혔다. ZachXBT는 하루 만에 $100만 이상 모금액을 달성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5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남이대장군

2023.06.21 11:48:27

파이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6.19 19:04:09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hoi5273

2023.06.19 17:34:2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dlwpgod

2023.06.19 16:49:20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3.06.19 16:11:08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Atomy찰리

2023.06.19 15:54:08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3.06.19 15:08:5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응가야

2023.06.19 14:34:52

감사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응가야

2023.06.19 14:34:45

그래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코코펠리

2023.06.19 13:47:39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