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블록체인 기술선도적용 사업' 추진...공공·민간분야 총 12개 과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국내 블록체인 기술·산업을 활성화 하는 한편,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23년 블록체인 기술선도적용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은 신정부 '블록체인 산업 진흥 전략'의 일환으로서 2023년 총 207억원 규모로 추진된다.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같이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직접 체감할 수 있고,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수 있는 우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발굴하고자 올해부터 과제 당 예산 규모를 확대·개편했다. 동 사업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이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공공서비스 발굴을 위한 공공분야와 기업 비즈니스의 상품화를 지원하는 민간분야로 나누어 추진된다. 오는 28일 공공분야 참여 기업들과의 협약과 함께 모든 사전 준비를 마치고 본격적인 서비스 개발에 착수한다.
[FIU,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총회 참석...AML·CFT·VASPs 등 논의]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법무부, 외교부, 국정원, 금감원 등 유관부처 및 기관과 함께 프랑스 파리 OECD 본부에서 개최된 제33기 3차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inancial Action Task Force, 이하 FATF) 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FATF 회원국 및 9개 지역기구(FSRB) 대표단 등 약 200명이 모인 이번 총회에서는 자금세탁방지(AML) 및 테러자금조달금지(CFT)를 위한 주요 과제와 FATF 국제기준 미이행국의 제재방안 등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이외에도 FATF는 가상자산 및 가상자산사업자(VASPs)에 대한 FATF 권고안 이행에 관한 4번째 이행목표 보고서를 공개하고, 비영리단체(NPO)가 테러자금조달에 오용되는 위험을 방지하고자 관련 국제기준(권고안 8) 명확화 및 비영리단체(NPO) 남용방지 관련 각국의 조치 사례를 소개하는 모범 사례집 공개를 결정했다.
[서클 CEO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가능성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서클 CEO 제레미 알레어는 중국 톈진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시장 구조가 성숙해지고 있다. 성숙한 현물 시장, 잘 규제된 커스터디 인프라, 우수한 시장 감시 시스템 등이 있다. 과거에 제기된 여러 우려사항이 해결되고 있다"고 말했다.
[비트메인 새 앤트마이너 채굴기 S19j XP 출시]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사 비트메인이 새 앤트마이너 채굴기 모델 S19j XP를 발표했다. 스펙은 151T, 3247W, 21.5J/T, $33/T다. 주문 시 올해 4분기 배송된다.
[분석 "롤오버 비용 없는 BTC 현물 ETF, 투자자에게 더 매력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프로쉐어즈 비트코인 전략(선물) ETF는 올해 62% 상승해 비트코인 현물 상승률(82%)보다 뒤처졌다. 이에 대해 모닝스타 북미 패시브 전략 리서치 총괄 브라이언 아무어는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되면 보다 비용 효율적인 투자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선물 ETF의 경우 롤오버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롤오버는 선물계약 포지션을 청산하지 않고 다음 만기일로 이월하는 것을 말한다. 모닝스타 다이렉트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신탁(GBTC) 같은 공인 투자자로 제한된 신탁을 제외하면 암호화폐 ETF 시장은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2% 미만인 약 $20억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더리움 재단, 이스탄불 컨퍼런스 참여 지원 프로그램 출시]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재단이 '데브커넥트 이스탄불 스콜라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는 이더리움 개발자 중 선발을 통해 오는 11월 이스탄불에서 개최되는 이더리움 데브커넥트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하는 것이 골자다. 지원 마감은 오는 7월 23일(현지시간)까지다.
[日 금융청, 디파이·자산 토큰화 프로젝트 참여]
일본 금융청이 홈페이지를 통해 싱가포르 통화청과 금융업계간 협의체인 프로젝트 가디언(Project Guardian)에 옵저버 자격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프로젝트 가디언은 자산 토큰화와 디파이의 타당성을 테스트하고, 금융 안정성과 무결성에 대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목표다.
[아칼라 커뮤니티, aUSD→aSEED 스왑 거버넌스 제안]
폴카닷(DOT) 파라체인 아칼라(ACA) 커뮤니티가 aUSD를 aSEED로 1대 1 스왑하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제안 발의자는 "이를 통해 미국 달러(USD)를 통해 아칼라의 미래 성장에 참여하도록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안이 통과되면 오는 7월 20일(현지시간) aUSD가 aSEED로 스왑될 예정이다.
[인니 거래소 인도닥스, 6/29 MLK·COMBO 상장]
인도네시아 암호화폐 거래소 '인도닥스'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29일 16시(한국시간) COMBO·MLK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업비트, 오늘 15시 BLUR 원화마켓 상장]
업비트가 오늘 15시 원화마켓에 BLUR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中 장시성 공안, 암호화폐 다단계 일당 검거...142만 USDT 압수]
현지 미디어 광밍데일리에 따르면 중국 장시성 공안이 USEA 및 TVL 토큰을 미끼로 피라미드 조직을 운영한 일당을 검거했다. 공안은 범죄 수익으로 추정되는 142만 USDT를 압수했다. 이들이 모집한 투자자는 총 3,000명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日 신임 금융청장에 암호화폐 분야 총괄 국장 임명]
니케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신임 금융청장에 쿠리타 테루히사(Kurita Teruhisa) 국장을 임명했다. 그는 금융청에서 암호화폐 분야를 총괄하는 종합정책국 국장을 맡고 있다.
[빗썸 6/30 가상자산 입출금 일시 중단...정기실사]
빗썸은 가상자산 정기실사를 위해 6.30(금) 19:00 ~ 07.01(토) 03:00 (총 8시간) 가상자산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크립토닷컴, 싱가포르에 블록체인·AI 연구소 설립]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닷컴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싱가포르에 글로벌 이노베이션 연구소(Global Innovation Lab)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소는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분야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크립토닷컴은 조만간 연구소 조직 구성을 위해 대규모 인력 채용에 나설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분석 "아토믹월렛 해커, 최소 $1200만 ETH 세탁"]
펙쉴드는 "아토믹월렛 해커는 북한 라자루스와 유사한 자금세탁 패턴을 보이고 있다. 그들은 필 체인 레이어링(peel chain layering) 프로세스를 통해 최소 $1200만 상당 ETH를 세탁하고 이를 아발란체 브릿지를 통해 연결했으며 GMX를 사용해 ETH를 BTC로 환전했다. 그런 다음 탈취 자금을 이더리움에서 비트코인으로 이체했다"고 전했다. 아토믹 월렛은 최대 1억 달러 이상 암호화폐를 도난당한 것으로 추산된다. 배후는 북한 해커 집단인 라자루스가 지목되고 있다.
[폴리곤 벤처스, 웹3 게임 플랫폼 테그로 투자]
비즈니스 스탠다드에 따르면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와지르엑스(WazirX) COO Siddharth Menon과 게임개발사 슈퍼게이밍(SuperGaming)이 설립한 웹3 게임 플랫폼 테그로(Tegro)가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금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투자는 폴리곤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기업 가치는 1억 달러 규모로 평가됐다.
[서클 CEO "홍콩 암호화폐 규제, 면밀히 연구 중"]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 CEO인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홍콩이 새로운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를 시행한 뒤 홍콩의 규제 정책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홍콩은 분명 스테이블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하기를 원하는 것같다. 홍콩의 움직임은 중화권에서 암호화폐 시장이 어떻게 성장하는지 보여주는 시험 사례일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주목할만 하다. 아울러 우리는 신흥시장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막대한 수요를 보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아시아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기술선도적용 사업 추진]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1000만명까지 주민투표가 가능해지는 온라인 투표가 현실화 된다. 또 약 1000여 종 자격증과 직업훈련이력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배지 시스템도 운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올해 블록체인 기술선도적용 사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올해 207억원 규모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같이 국민이 일상에서 직접 체감할 수 있고,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우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에 중점을 뒀다. 올해부터 과제 당 예산 규모를 확대·개편했다.
[가짜 가상화폐 투자사이트 이용해 135억대 사기 친 일당 검거]
경기 오산경찰서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과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이 조직의 국내 자금세탁 총책 A씨 등 16명을 검거해 12명을 구속했다고 27일 밝혔다. A씨 등이 속한 허위의 가상화폐 투자사이트 운용 조직은 지난해 5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필리핀 내에서 유튜브와 SNS를 통해 "가상화폐 투자로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등의 거짓말로 200여명의 투자자를 끌어들여 135억원 상당을 편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국내에서 자금세탁 역할을 맡은 A씨 등은 미리 모아둔 대포통장을 이용해 피해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받았으며, 이 돈으로 상품권을 대량 구매한 후 다시 판매하는 수법으로 자금을 세탁했다. 경찰은 검거 당시 A씨 등이 갖고 있던 현금과 귀금속 등 6억 5천만원 상당을 기소 전 추징보전했다.
[ETH 스테이킹 고래 주소, 바이낸스서 8100 ETH 출금]
비트코인엠버는 "한 고래 주소가 1시간 전 바이낸스에서 8100ETH($1511만)를 출금했다. 이 주소는 최근 대량의 ETH를 스테이킹했는데, 6월 8일 이후 바이낸스 누적 출금량이 34600ETH($6432만)이다. 추정 평단가는 $1859다. 현재까지 26496ETH를 스테이킹 컨트랙트에 예치했다"고 전했다. 이어 "4월 13일 스테이킹 ETH 출금이 가능해진 이후 스테이킹 물량은 361만ETH 순증가했다. 출금량은 350만ETH, 입금량은 711만ETH다. 출금은 감소세지만 입금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6/30 KMD 입출금 일시 중단...하드포크 지원]
바이낸스는 코모도(KMD)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하드포크 지원으로 인해 6월 30일 21시부터 KMD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미쓰비시UFJ파이낸셜, 데이터체인 투자...스테이블코인 발행 협력]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스타트업 데이터체인(Datachain)이 일본 미쓰비시UFJ금융그룹(MUFG) 은행으로부터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MUFJ과 맺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진행됐다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앞서 양사는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상호작용 기술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루블화-USDT 거래액 급증...러 바그너 반란사태 영향]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러시아 용병기업 바그너가 반란 사태를 일으킨 지난 토요일 루블화-USDT 거래액이 $1500만으로 급증했다. 전날 $400만 대비 275% 치솟은 셈이다. 매체는 "USDT가 자산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USDT처럼 자산 피난처 역할을 하는 비트코인도 작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된 바 있다.
[WSJ "로빈후드, 정규직 7% 규모 정리해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미국 온라인 증권,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가 1년 만에 세번째 정리해고를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해고 규모는 전체 정규직 직원의 약 7%(150명) 수준이다. 우리가 입수한 로빈후드 내부 메시지에서 로빈후드 최고재무책임자(CFO) 제이슨 워닉(Jason Warnick)은 직원들에게 '회사 규모에 맞게 인력을 조정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구조조정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리해고는 주식 거래가 줄고 암호화폐 가격이 하락하면서 회사 순이익이 감소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