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주말 브리핑] 뉴욕 연방준비은행, 분산원장 기술 결제 시나리오 '타당성 실험' 결과 발표 外

프로필
박원빈 기자
댓글 55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뉴욕 연방준비은행, 분산원장 기술 결제 시나리오 '타당성 실험' 결과 발표]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NY Fed)이 현지 은행과 실시한 공유 분산원장 기반 도매 결제 네트워크의 타당성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6일(현지시간) NY Fed는 "실험 결과 분산원장 기술이 국내 및 국가 간 결제 시나리오를 모두 충족하는 잠재적 솔루션으로 식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시작된 이번 실험은 뉴욕혁신센터(NYIC) 주도하에 이뤄졌으며, 12주에 걸쳐 토큰 시제품을 발행하고 모의 중앙은행 준비금을 통해 거래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미 SEC "코인베이스, 소송 이전에도 법 위반 사실 인지하고 있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코인베이스가 소송 이전에도 법 위반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7일(현지시간) 주장했다. SEC는 코인베이스의 '자사에 상장된 암호화폐가 SEC 관할권 밖에 있다'고 주장하는 내용에 답변서를 제출, "코인베이스는 연방 증권법 위반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2021년 SEC가 코인베이스의 등록 신청서를 승인했다며 이를 통해 기본적인 비즈니스 적법성을 확인받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코인베이스는 과거 특정 암호화폐의 연방 증권법 요구사항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 대법원의 법적 프레임워크를 채택했으며, 동시에 암호화폐 발행자가 전통적인 증권과의 연관성에 대해 어떠한 설명도 하지 못하도록 금지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인베이스는 투자자에게 잠재적 리스크 중 하나로 상장 자산이 증권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시하고 있다. 이 사실 또한 증권법이 적용될 수 있었음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 성장이라는 이름으로 리스크를 감수하기로 했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SEC는 6월 초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12종 암호화폐가 미등록 증권이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제미니 창업자, DCG 및 배리 실버트 상대 소송 제기]

카메론 윙클보스 제미니 공동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오늘 제미니는 디지털커런시그룹(DCG)과 배리 실버트(Barry Silbert) DCG CEO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배리 실버트를 비롯한 DCG 경영진들은 제미니, 제미니 언 사용자에 제네시스의 지불 능력, 재무 상태를 속였으며, 사기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해 제미니와 다른 채권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다"며 소송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그는 배리 실버트에게 14억 6000만 달러 상당의 대출 상환 패키지를 수용하라고 제안했으며, 만약 이를 거부하면 7월 7일(현지시간) 소송을 진행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리서치 "금융서비스기관, 암호화폐 '친숙'·AI '중립'"]

크립토슬레이트가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세일즈포스(Salesforce) 보고서를 인용, 대다수의 금융서비스기관(FSI) 고객이 암호화폐는 친숙한 반면 인공지능(AI)는 중립적이라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세일즈포스는 12개국 6058명의 FSI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1%가 암호화폐에 대해 리서치했거나 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또한 전체의 30%가 포트폴리오에 암호화폐를 추가하는 등 다각화를 모색할 계획이 있다고 전했다. 세일즈포스는 "해당 데이터는 FSI가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포트폴리오에 암호화폐를 추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반면 AI챗봇을 신뢰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21%로, 중립적인 답변을 한 응답자는 56%다.

[폴리곤랩스, CLO 마크 브아론 CEO 임명... 라이언 와트 퇴임 예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폴리곤랩스(Polygon Labs)가 최고법률책임자(CLO) 마크 브아론(Marc Boiron)을 CEO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대표(President) 라이언 와트(Ryan Wyatt)가 7월 말 퇴임, 자문 역할을 맡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폴리곤랩스 측은 "마크 브아론의 CEO 임명은 개발자, 빌더, 사용자로 구성된 글로벌 폴리곤 커뮤니티를 육성 및 확장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의 일환"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지난 2월 폴리곤에 합류한 최고정책책임자(CPO) 레베카 레티그(Rebecca Rettig)가 CLO직을, 폴리곤 공동 창업자 산딥 네일왈(Sandeep Nailwal)이 대표직을 맡게된다.

[DCG CEO "제미니 소송, 책임·비난 회피 위한 시도... 윙클보스 형제 회의 참석도 안해"]

카메론 윙클보스 제미니 공동 창업자가 디지털커런시그룹(DCG)과 배리 실버트(Barry Silbert) DCG CEO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배리 실버트가 "이는 언 프로그램 관련 제미니의 책임과 비난을 돌리기 위한 수단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언 프로그램 관련 DCG 및 DCG 직원이 잘못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이는 우리의 명예를 훼손하는 명백한 거짓말"이라며 "DCG는 제네시스 파산의 모든 피해자를 위해 우호적 해결책을 도출하는데 집중해왔다. 제미니 임원들이 언론성명만 발표하는 동안 DCG 임원들은 공식 무담보 채권자 위원회 및 임시 위원회 대표들과 수개월에 걸쳐 협상했다. 분명히 말하지만, 카메론 및 타일러 윙클보스 형제는 최근 회의에 직접 참여한 적 없다"고 강조했다.

[2Q 신세틱스 거래량 110억 달러... 전년比 170% 증가]

메사리가 보고서를 발표, 올해 2분기 디파이 합성 프로토콜 신세틱스(Synthetix) 총 거래량이 110억 달러 이상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70% 증가했다고 전했다. 해당 기간 신세틱스는 V3 및 snxETH를 출시했다.

[오픈씨, 조라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지원]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조라(ZORA)의 옵티미즘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지원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조라 네트워크 기반 NFT 프로젝트를 오픈씨 플랫폼을 통해 거래할 수 있다.

[서클, 멀티체인 대규모 출금 관련 월렛 3개 블랙리스트 등록]

멀티체인(MULTI)에서 대규모 출금 이슈가 발생한 가운데, 서클이 관련 3개의 월렛 주소를 블랙리스트에 올렸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펙실드에 따르면 해당 조치로 인해 유출과 관련된 자산의 일부인 약 6300만 달러 상당 USDC가 동결됐다. 앞서 멀티체인의 팬텀 브릿지에서 1.3억 달러 상당 암호화폐가 비정상적으로 인출되자 멀티체인은 "서비스가 현재 중단됐다. 모든 브릿지 트랜잭션이 소스 체인에서 중단될 것이다. 재개 시점은 미정이다. 멀티체인 브릿징 서비스를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공지했다.

[외신 "3ac 청산인, DCG·블록파이에 약 12억 달러 회수 요구 가능성 有"]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털(3ac)의 청산인이 DCG 및 블록파이에 약 12억 달러 회수를 요구할 수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3AC 파산 관재인 테네오(Teneo)는 7일(현지시간)자 보고서를 통해 DCG 및 제네시스 대출 자회사에 대한 10억 달러 이상의 잠재적 청구(Prospective Claims) 및 블록파이에 대한 2.2억 달러 이상의 우선변제(Preferential Payments)에 대해 언급했다. 청산이 임박했으나 절차가 시작되기 전 헤지펀드가 지불한 금액을 회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CNBC "'BTC 투자자 아니다' 케네디 주니어, 최대 25만 달러 BTC 보유"]

CNBC가 최근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에 출마하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Robert F. Kennedy Jr.)가 공개한 재무 보고서를 인용, 그와 그의 가족이 100,001달러에서 250,000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그는 지난 5월 비트코인 컨퍼런스에 참석해 "나는 BTC 투자자가 아니며 투자 조언을 하기 위해 여기 온 것도 아니다"며 "캠페인 기부금을 비트코인으로 받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CNBC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지난 6월 30일(현지시간) 제출한 재무 보고서를 인용해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자신이 비트코인에 투자했다는 사실을 대중에게 말하지 않은 채 선거유세를 통해 비트코인을 마케팅했다. 이해상충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가족은 BTC를 통해 201달러 미만의 수익을 냈으며, 누가 언제 구매했는지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또한 현재 보유 여부 등도 알 수 없다.

[WSJ "바이낸스, 지난주 수십명 직원 해고... 미국 직원 추가 감원 계획"]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지난주 수십명의 직원을 해고했으며, 이후 미국 현지 직원 일부를 해고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포춘크립토는 바이낸스 최고전략책임자(CSO) 패트릭 힐만(Patrick Hillmann), 법률 고문 한 응(Han Ng), 컴플라이언스 선임 VP 스티븐 크리스티(Steven Christie) 등이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미국 법무부 조사에 대한 자오창펑 CEO의 대응을 두고 마찰을 빚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자오창펑 CEO는 해당 소식이 근거 없는 소문이라고 입장을 밝혔고, 스티븐 크리스티, 패트릭 힐만 등도 퇴사 이유가 보도된 것과 다르다고 밝힌 바 있다.

[데이터 "BLUR 보유자 98.88% 손실 상태"]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분석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블러(BLUR) 보유자의 98.88%가 현재 손실을 보고 있다"고 전했다.

[분석 "규제 강화 불구... 미국 여전히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 담당"]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기관 K33 리서치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규제 강화로 인해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미국은 여전히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을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업계 인력의 30%가 미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국가 기준 가장 많은 규모"라며 "우리는 이러한 상태가 계속해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규제 강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기술 지식과 자금 조달 접근성으로 인해 미국은 계속해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을 담당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 증시 3대 지수 하락 마감]

미 증시 3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S&P500: -0.29%
나스닥: -0.13%
다우: -0.55%

[크립토닷컴, 미 법원에 '오입금' 5만 달러 중재판결 요청]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닷컴이 미국 플로리다 법원에 오입금 5만 달러 관련 중재판결을 요청했다. 지난 2022년 6월 크립토닷컴은 한 이용자(James Deutero McJunkins) 계정에 5만 달러를 오입금했다. 이용자는 해당 자금을 즉시 타은행 계좌로 이체했으며, 거래소의 환불 요청을 거부했다. 이에 크립토닷컴은 민사상 절도(Civil Theft) 및 계약위반을 주장하며 미국 법원에 중재를 요청했다. 이후 2023년 4월 법원은 거래소의 손을 들어주며 약 7.6만 달러 지급 명령을 내렸다. 여기에는 오입금된 5만 달러와 법정이자, 변호사 수임료, 중재 비용 등이 포함된다. 다만 해당 판결에는 이용자에 대한 지불 강제권이 포함돼 있지 않았고, 이에 거래소가 법원에 중재 최종판결을 요청한 것이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8...탐욕 유지]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3포인트 오른 58을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개선되며 탐욕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블룸버그 전략가 "BTC, 하반기 진정한 '디지털 금' 입증 기회"]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시니어 매크로 전략가 마이크 맥글론은 비트코인이 올해 하반기 경기침체로 인해 진정한 시험에 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반기 주식시장이 하락하면 비트코인이 동반 하락하지 않음으로써 가치 저장소 또는 디지털 금임을 증명할 기회가 올 것이라는 예측이다. 그러면서 과거 경기 침체기에 연준은 통화정책을 신속하게 완화했지만 이번에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이를 꺼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앤디 머레이 윔블던 NFT 판매...테니스 성적 포함]

디크립트에 따르면 영국 테니스 원탑 앤디 머레이가 디지털 아티스트 Refik Anadol과 협력해 이더리움에서 윔블던 아트 NFT를 론칭했다. 데이터 기반 디지털 아트 프로젝트로, 2013, 2016 두 번의 그랜드슬램 우승을 포함한 앤디 머레이의 18년간 윔블던 성적과 모션 캡쳐 데이터가 들어가 있다. 윔블던 2023 2라운드 경기에 앞서 manifold.xyz에서 판매됐다. NFT 가격은 개당 $147다.

[바이낸스 시장 점유율 올 들어 최저...72%→58%]

더블록에 따르면 달러(USD) 마켓이 없는 암호화폐 거래소 중 바이낸스 시장 점유율(현물)이 연초 72%에서 현재 58%로 줄었다.

[WSJ "바이낸스 CEO, SEC 피소 후 대부분 두바이 자택에서 머물러"]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가 바이낸스를 제소한 이후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두바이에 있는 자택에서 대부분 머무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두바이는 미국과 상호 범죄인 인도조약을 맺지 않은 국가다.

[거터캣갱 에어드랍 피싱링크로 $76만 NFT 도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거터캣갱(GutterCatGang) 공식 트위터 계정과 공동 창립자(@gutterric) 계정이 해킹당해 한정판 거터캣갱 NFT 스니커즈 에어드랍 피싱 링크가 올라오면서 $765,000 이상 NFT가 도난당했다. 블록체인 보안 전문가 ZachXBT는 거터캣갱 팀이 심스왑 공격을 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셜미디어 SMS 2FA(2단계 인증)를 사용한 것은 중과실이므로 거터캣갱 팀이 피해자 배상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샤디움 $540만 전략투자 유치...밸류 $2.48억]

더블록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샤디움(Shardeum)이 $540만 전략 투자를 유치했다. 밸류에이션은 $2.48억으로 평가됐다. Amber Group, Galxe, J17 Capital, TRGC, Jsquare, Bware Labs, Tané Labs, Hyperithm Group, Luganodes가 이번 라운드에 참여했다. 샤디움은 올해 말 메인넷을 출시할 예정이다. 샤디움은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와지르엑스(WazirX) 설립자 니샬 셰티가 공동 설립했다.

[115,250,000 USDC 이체... 익명 → 코인베이스]

웨일 얼럿에 따르면, 익명 주소에서 코인베이스 주소로 115,250,000 USDC가 이체됐다. 1.1억 달러 규모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단독] 저스틴 선 “트론, 나스닥 상장사 통해 제도권 진입…스위프트 넘어설 것”

[단독] 저스틴 선 “트론, 나스닥 상장사 통해 제도권 진입…스위프트 넘어설 것”

[BTC 사이클 트래커] 비트코인, 11만1500달러 지지선 시험…저항은 11만7000달러

[BTC 사이클 트래커] 비트코인, 11만1500달러 지지선 시험…저항은 11만7000달러

댓글

댓글

55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5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m0609

2023.07.10 10:50:0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egoboss

2023.07.10 10:43:1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대박보스

2023.07.10 10:13:13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ityou

2023.07.10 10:03:1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hoi5273

2023.07.10 09:33:2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3.07.10 08:16:14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레드망토

2023.07.10 08:11:48

ㄱㄱ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슨리

2023.07.10 08:09:28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ujaabba

2023.07.10 08:07:09

오늘도 좋은데이.
성투하세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소

2023.07.10 08:06:07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