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 전담 가상자산합동수사단 출범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9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검찰 CI / 검찰

사진 = 검찰 CI / 검찰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 전담 가상자산합동수사단 출범]

서울남부지검은 가상자산 관련 범죄 수사를 전담하는 가상자산합동수사단이 이달 말 출범한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대검찰청은 이달 말 검찰 공무원 인사에 맞춰 서울남부지검에 가상자산합수단을 설치하기로 했으며 검찰에 코인 관련 범죄를 전담하는 수사조직이 꾸려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합동수사단은 사기 등 코인 거래를 이용한 범죄 수사는 물론 가상자산의 증권성 등 법리를 검토해 앞으로 수사에 활용할 예정이다. 전문 수사 인력도 양성한다.

[IMF, 마셜제도 위험요소로 다오·CBDC 등 언급]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이 마셜제도공화국(RMI)에 대한 위협요소로 기후변화, 다오(DAO), CBDC 등을 꼽았다. 마셜제도는 앞서 다오를 법인으로 인정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후 이를 유한책임회사로 설립할 수 있도록 허용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IMF는 "마셜제도는 파이낸셜 차원의 개혁이 필요하다"며 "다오 법 제정 등 핀테크 이니셔티브는 마셜제도의 재정 건전성에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 마셜제도가 이를 적절하게 규제 및 감독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 다오 관련 법안 유예를 권고한다"고 전했다. 이어 "중앙은행이 없는 마셜제도에 암호화폐 경제 도입은 좋은 아이디어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해당 법안을 통해 마셜제도에 등록한 다오가 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블록체인 개발자 "브라질 CBDC, 계정 동결 등 조작 가능 소스코드 존재"]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블록체인 개발자 페드로 마갈랑(Pedro Magalhães)이 보고서를 발표, 브라질 정부가 CBDC를 이용해 계정을 동결하거나 조작할 리스크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브라질 CBDC 소스코드를 분석한 결과, 정부가 계정을 동결 및 동결 해제하고 다른 사람의 계정에서 CBDC 토큰을 이체, 생성 및 소각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돼 있었다. 해당 기능은 브라질 중앙은행이 고객에게 대출 및 금융상품을 제공하거나, 금융 범죄를 추적하는데만 사용될 수 있지만, 동시에 이를 이용한 조작 리스크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브라질 중앙은행은 파일럿 테스트를 마친 오는 2024년 말쯤 CBDC를 공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앱토스, 메인넷 V1.5 업그레이드 관련 거버넌스 제안 투표 시작]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앱토스(APT) 커뮤니티가 메인넷 V1.5 업그레이드 거버넌스 제안에 대한 투표를 시작했다. V.15 업그레이드에는 토큰화된 증권, 부동산, 게임 등 기타 대체 가능한 자산과 관련 네트워크 기능 향상과 벡엔드 서비스 변경 등이 포함된다. 투표는 7월 18일 10시 57분(현지시간) 마감된다.

[바이낸스 US "BCH 잔고 부족 루머는 퍼드"]

바이낸스 US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캐시(BCH)와 관련 최근 퍼드(FUD)를 해결하고자 한다. 다른 코인과 마찬가지로 BCH에 대한 바이낸스US의 준비금은 1:1로 유지되고 있다. BCH 인출 일시 중단은 지난 주말 일부 고객의 BCH 예치 월렛에서 자동 스윕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발생한 기술적인 문제다. 일요일 늦은 밤 부터는 모든 네트워크에서 BCH 인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한 트위터 유저가 "바이낸스 US로부터 BCH 잔고가 부족하다는 이메일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팀 드레이퍼 "미 규제기관 예상보다 공격적이지만 BTC $25만 달성 충분"]

미국 벤처투자 거물이자 비트코인 맥시멀리트인 팀 드레이퍼(Tim Draper)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BTC) 가격이 25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는 분석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BTC는 당초 전망한 시간(2023년 내)보다는 조금 미뤄진 2025년에 25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다. 미국 규제 기관이 이렇게 공격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BTC가 훌룡한 시스템이자 통화이며, 훌륭한 운영 방식이라는 나의 견해는 바뀌지 않았다"고 전했다.

[퍼 트리-그레이스케일, GBTC 세부 정보 관련 소송 합의 마무리]

블룸버그에 따르면 헤지펀드 퍼 트리(Fir Tree)가 GBTC 세부 정보와 관련, 그레이스케일에 제기한 소송을 합의로 마무리 지었다. 합의에 따라 그레이스케일은 GBTC와 관련된 문서를 제공할 예정이며, 주주 승인을 거친 뒤 환매를 재개할 계획이다. 앞서 퍼트리는 지난해 12월 그레이스케일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그레이스케일은 운영 리스크 및 이해 충돌 방지를 위해 GBTC 세부정보를 공개해야 하며, 환매를 재개하고 신탁 수수료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FTX, 고객자금 청구증명서 제출용 웹 사이트 오픈]

더블록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고객 클레임 웹 사이트를 오픈했다. 해당 사이트를 통해 FTX.com, FTX.us, Blockfolio, FTX EU, FTX JP, Liquid 계정을 보유한 고객은 자금 청구 증명서(증거)를 제출할 수 있다. 앞서 미국 파산법원은 FTX 고객의 자금 청구 증명서 제출 기한을 9월 29일(현지시간)로 확정했다고 전한 바 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SEC, BTC 현물 ETF 승인 시 30조 달러 자본 유입"]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츄나스(Eric Balchunas)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를 승인한다면 30조 달러 상당의 자본이 갑자기 시장에 풀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수의 기업이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한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새로운 낙관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블랙록의 신청서 제출은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을 1%에서 50%로 끌어올렸다. 이들은 매우 영리하다.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무언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법무부, $900만 암호화폐 탈취 혐의 크레마파이낸스 해커 체포]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DOJ)가 지난해 플래시론 공격으로 솔라나(SOL) 기반 유동성 프로토콜 크레마파이낸스(CremaFinance)에서 900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탈취한 혐의를 받는 샤케브 아흐메드(Shakeeb Ahmed)를 체포했다. DOJ는 "그는 보안 업체 엔지니어로, 지난해 한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에서 허위의 가격 데이터를 생성한 뒤 이를 활용해 900만 달러 규모 암호화폐를 탈취했다. 해당 DEX의 이름은 밝힐 수 없지만, 솔라나 기반 블록체인이다"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DOJ가 DEX의 구체적인 이름을 밝히진 않았지만, 피해 규모나 해킹 방법을 봤을 때 크레마파이낸스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캐나다·영국·미국 암호화폐 투자자 65%, '장기 홀더']

핀테크 업체 브로드리지(Broadridge)가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영국, 미국인의 암호화폐 투자자의 65% 이상이 장기 홀더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해당 설문조사는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2000명의 암호화폐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에서 응답자의 70%는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대답했으며, 25%는 스테이블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아울러 암호화폐 투자자가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얻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암호화폐 웹사이트(40%), 소셜미디어(20%), 백서(20%) 순으로 꼽혔다.

[러시아, 8월부터 소비자 대상 디지털루블 시범 운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이 오는 8월부터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디지털루블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러시아 중앙은행 부총재 올가 스코로보가토바(Olga Skorobogatova)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가 출범하면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를 대체할 수 있다"며 "다만 올가 부총재는 오는 2025년 이전 디지털 루블을 도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애니모카브랜드 CEO "블록체인 게임 곧 상용화"]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애니모카브랜드 CEO 랍비 융(Robby Yung)이 최근 포르투갈에서 열린 '블록다운23' 행사에 참석해 "블록체인 게임이 널리 상용화 되는 날이 머지 않았다"고 전망했다. 그는 "웹3 게임 커뮤니티는 웹2에 비해 아직 비율이 높지 않지만, 참여도가 높으며 수익성도 좋은 편이다. 따라서 훌륭한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커뮤니티를 발전시키면 웹3 게임 업계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캄, 인텔리전스 거래소 관련 FAQ 공개]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최근 출시한 온체인 인텔리전스 거래소 관련 FAQ 자료를 공개했다. 이를 통해 아캄은 "인텔리전스 거래소는 온체인 분석 및 토큰화를 위한 것이다. 해당 거래소는 주소,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요청하지 않으며, 이를 요청하는 게시물도 허용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아캄 측은 미구엘 모렐 아캄 CEO가 오늘 23시 45분(한국시간) 트위터 스페이스에서 AMA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아캄은 인텔리전스 거래소의 고객 이메일 주소 노출 관련 문제점을 수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코인베이스, HNT 상장]

코인베이스가 헬륨(HNT)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유동성 조건 충족시 태평양 표준시(PT) 기준 7월 12일 9시에 거래가 시작된다. HNT는 익스페리멘털(experimental, 리스크 높은 자산 표시) 라벨로 상장된다.

[인도중앙은행 "올해 CBDC 거래량 100만건 전망"]

로이터에 따르면 인도중앙은행(RBI)이 올해 말까지 약 100만 건의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거래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라비 산카르 RBI 부총재는 최근 연설을 통해 "6월 기준 130만명의 고객과 30만개 가맹점이 CBDC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는 CBDC를 단순한 결제 수단이 아닌 디지털화폐로 도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별도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WSJ "FTX 디지털마켓 공동 대표, 선거법 위반 혐의로 수사"]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맨해튼 연방 검찰이 FTX 디지털 마켓 공동 대표 라이언 살라미(Ryan Salame)의 선거자금법 위반 가능성에 대해 수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라이언 살라미가 뉴욕 제 1 하원의원 예비선거 공화당 캠페인과 관련해 연방기부금 제한 조항을 위반한 혐의를 받고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샘 뱅크먼 프리드 FTX 설립자에 대한 수사와 별개로 진행된다.

[상위 20개 중앙화거래소 2Q 현물 거래량 $1.6조... 전 분기 대비 36% ↓]

코인마켓캡이 발표한 암호화폐 거래소 데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20개 중앙화 거래소(CEX)의 2분기 현물 거래량은 전 분기 대비 36% 감소한 1조67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분기 비트코인(BTC) 가격 상승으로 인한 현물 거래량(2조6000억 달러) 급증에 따른 감소로 해석됐다. 거래소 점유율은 바이낸스가 59.99%를 기록했다. 탈중앙화거래소(DEX)의 2분기 거래량도 1890억 달러로 전 분기(2490억 달러)에 비해 24% 감소했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거래소는 유니스왑으로, 57.5%를 기록했다.

[CBOE, BTC 현물 ETF 신청서 재제출... 코인베이스와 감시공유 합의 도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나스닥과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이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전달한 가운데, CBOE이 5개의 BTC 현물 ETF 신청 서류를 보완해 다시 제출했다. 이번 보완된 서류에서 CBOE는 '감시공유 계약 체결을 위해 코인베이스와 조건 관련 합의에 도달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수정 이전 서류에는 해당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크립토 에코맵] 스테이블코인 부문 15% 급락…프라이버시 코인만 독주

[크립토 에코맵] 스테이블코인 부문 15% 급락…프라이버시 코인만 독주

[인덱스 리포트] BTC 1년 수익률 87% 유지…금 44.5% 상승

[인덱스 리포트] BTC 1년 수익률 87% 유지…금 44.5% 상승

댓글

댓글

9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9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금동보안관

2023.07.13 00:56:27

좋은 기사 잘 보고 나갑니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7.12 18:00:44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에스

2023.07.12 12:55:5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보드야

2023.07.12 11:23:27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보드야

2023.07.12 11:23:2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보드야

2023.07.12 11:22:59

그래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modeny

2023.07.12 09:48:3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버드

2023.07.12 09:31:31

좋은 기사 감사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곰한마리

2023.07.12 09:16:3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