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뉴욕 브리핑] 美 국립경제연구소 "암호화폐, 주택 가격에 파급효과" 外

프로필
양소희 기자
댓글 9
좋아요 비화설화 0
 [토큰포스트 뉴욕 브리핑] 美 국립경제연구소

[美 국립경제연구소 "암호화폐, 주택 가격에 파급효과"]

블록웍스가 미국 국립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NBER)데이터를 인용, 암호화폐가 주택 가격 등 가계 소비와 투자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일으킨다고 평가했다. NBER 연구원은 암호화폐 가격 상승과 도시의 주택 가격 상승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밝혀냈다. 연구에 따르면 2017년 암호화폐 가격 급등 이후, 암호화폐 자산이 많은 도시는 그렇지 않은 도시에 비해 주택 가격이 약 0.46% 더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주택 가격이 2017년 급등 이후 9개월 동안 약 1878 달러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평균 주택 가격 대비 약 1% 높은 수준이다.

[보안업체 "올 상반기 디파이 해킹 피해액 $4.8억"]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인크립토가 블록체인 전문 보안업체 펙실드의 데이터를 인용, 2023년 상반기 스마트 컨트랙트 탈중앙금융(DeFi·디파이) 해킹으로 인한 손실액이 4.8억 달러 규모라고 전했다. 이중 이더리움 피해액은 2.87억 달러로 가장 큰 손실을 기록했다. 펙실드에 따르면 디파이 공격의 대표적인 유형은 로직 버그, 오라클 조작, 권한 노출이다. 한편, 작년 암호화폐 해킹 피해액은 25억 달러 규모로, 올해 상반기 디파이 해킹 피해액은 작년 대비 75%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곤, 영지식 스타크 기반 가상머신 미덴 4분기 출시 예고]

폴리곤랩스(Polygon Labs)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폴리곤의 영지식 스타크(zk-STARK) 기반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호환 솔루션 폴리곤 미덴(Polygon Miden)이 오는 4분기 공개 테스트넷 출시를 목표로 지속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폴리곤랩스는 또 "이더리움(ETH)은 ETH 메인넷에서 수수료 지불이 가능한 유일한 자산이지만, 폴리곤 미덴은 모든 자산을 ETH와 같은 네이티브 자산으로 취급해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처리량을 늘리고 개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폴리곤 CISO "암호화폐 업계, 보안 능력 뒤처져 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폴리곤(MATIC)의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인 무딧 굽타(Mudit Gupta)가 EthCC 행사에서 "보안 환경이 급변하고 있지만 암호화폐 업계는 보안에서 너무 뒤처져있다. 니모닉키의 경우 유출 위험이 있고, 개인키는 이론상 100% 안전하지만 소유자 사망이나 손상 등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공격자의 경우 보안을 우회하거나 침입하는 방법만 찾으면 되지만,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모든 변수를 커버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디피니티 재단, 블록체인 분야 AI 사용 촉진 위해 $500만 보조금 프로그램 출범]

디크립트에 따르면 탈중앙화 컴퓨팅 플랫폼 디피니티(DFINITY)가 블록체인 기술과 스마트 컨트랙트에서의 인공지능(AI) 사용 촉진을 위해 탈중앙화 인공지능(DeAI) 개발 보조금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보조금은 해당 영역 개발자들에게 인터넷컴퓨터(ICP) 토큰으로 제공되며, 1인당 보조금 규모는 5000 달러부터 10만 달러다.

[특정 월렛, 1000만 MATIC 바이낸스 입금..2020년 재단 발 물량]

온체인 데이터 분석 트위터 계정 'EmberCN'에 따르면 20시 35분 경 특정 월렛이 1000만 MATIC를 바이낸스로 이체했다. 해당 월렛의 자산 출처는 2020년 3월 재단의 2억 MATIC 이체로 거슬러 올라가며, 지난 3년 수차례 이체를 거치며 일부가 바이낸스로 이체됐다. 해당 2억 MATIC 중 1.5억 MAITC가 이미 바이낸스로 이체된 상태다.

[메이커다오, 스마트 번 엔진 도입 제안 승인]

메이커다오(MakerDAO) 커뮤니티가 스마트 번 엔진 도입 제안을 승인했다. 스마트 번 엔진은 메이커(MKR)에서 준비금으로 사용하지 않는 잉여 버퍼에 다이(DAI)를 할당하도록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으로, 유니스왑 V2 LP 토큰 형태로 쌓이게 된다. 제안 승인에 따라 메이커다오의 예치보상률(DSR)은 3.49%에서 3.19%로 줄어든다. 각 풀 금리 역시 이에 맞춰 조정될 예정이다.

[OKX 웹3 월렛, 모든 체인 서명 알고리즘 오픈 소스화]

쉬밍싱 OKX 창업자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OKX 웹3 월렛이 모든 체인의 서명 알고리즘을 오픈 소스화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에 대해 "이를 통해 산업 전체에 작은 공헌이 있기를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칼리마, ABO디지털로부터 $1000만 투자금 확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칼리마(Kalima)가 ABO디지털로부터 1000만 달러 투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칼리마는 기업 대상 사물인터넷(IoT) 데이터에 웹3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다. 칼리마 측은 오는 19일부터 자체 프로토콜 내 거래 비용 지불 용도로 쓰이는 KLX 토큰의 프라이빗 세일을 진행한다. KLX 토큰은 오는 21일 유니스왑에 KLX/ETH 페어로 상장될 예정이다.

[리플 개발 임원 "XRP 에스크로 물량, 가격에 영향 못 줘"]

리플(XRP)랩스 전 개발자 관계(developer relations) 담당 이사 맷 해밀턴이 에스크로 지갑에 보관돼있는 XRP 물량이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XRP의 일일 거래량을 고려하면 에스크로 보관 물량은 가격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XRP 가격은 암호화폐 시장 상황과 비트코인(BTC) 가격 움직임에 영향을 받으며, XRP 커뮤니티는 리플사가 보유한 물량을 소각하자는 제안을 언제든 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리플 측은 7월 기준 410억 XRP를 에스크로 지갑에 보관하고 있으며, 앞서 크립토베이직 등 외신은 해당 물량의 전략적 매도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로이터 "리플 일부 승소, 업계 SEC 대한 저항 촉발할 것"]

로이터 통신이 복수 법률 전문가들을 인용해 리플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상대로 일부 승소로 암호화폐 업계 전반의 규제기관 저항을 부추길 것이라고 보도했다. 무카시 프렌치먼 로펌의 로버트 프렌치먼(Robert Frenchman)은 "이 사건으로 사람들이 암호화폐의 증권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고, 거래소들은 이번 판결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소재 로펌 베이커&호스테틀러 변호사인 테레사 구디(Teresa Goody)도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 내 암호화폐가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란 주장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전했다. 통신은 또 SEC가 항소 후 패소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타 거래소, 암호화폐 업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따라 항소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부연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9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9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3.07.18 21:51:42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크라운

2023.07.18 08:43:0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곰한마리

2023.07.18 08:27:2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EDA

2023.07.18 07:52:0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hang0833

2023.07.18 07:17:54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incash

2023.07.18 05:30:1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금동보안관

2023.07.18 05:16:59

언제나 좋은 기사 쓰시느라고 수고가 많으십니다.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terra3372

2023.07.18 04:39:0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3.07.18 00:50:50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