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美 하원 금융서비스위원장,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발행 관련 성명 발표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3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美 하원 금융서비스위원장,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발행 관련 성명 발표]

글로벌 결제 기업 페이팔이 페이팔USD(PYUSD)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다고 밝히며, 이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이 관련 성명을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7일(현지시간) 현지 정치권에 따르면, 패트릭 맥헨리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이 페이팔의 스테이블코인 출시 관련 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 양당이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에 합의한 후 통과된 직후다. 패트릭 맥헨리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은 페이팔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해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규제 경로를 식별하는 동시에 결제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연방 기준 마련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 내 발행할 경우 높은 잠재력 ▲명확한 규제와 강력한 소비자 보호책 필수 등을 강조했다.

[서클 CEO "지난달 50억 달러 규모 USDC 발행... 투명하게 운영 중"]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 CEO인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지난 한달 동안 우리는 50억 달러 규모의 USDC를 발행했으며 66억 달러의 USDC를 상환했다. USDC 뱅킹은 24시간 연중무휴로 발행 및 소각 서비스를 제공한다. 약 90개 국가로 송금 결제가 가능하며, 또한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다. USDC 보유액은 매달 감사 파트너인 딜로이트의 감사를 받으며, 모든 국채(T-bills) 및 레포 포지션(및 대부분의 현금)은 SEC에 등록된다"고 전했다. 같은날 글로벌 결제 기업 페이팔(PayPal)이 페이팔USD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다고 발표했다.

[사이퍼, 40만 달러 규모 해킹 공격 노출... 스마트 컨트랙트 동결]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사이퍼(Cypher) 프로토콜이 익스플로잇 혹은 보안 사고로 인해 40 만달러의 피해를 입었다. 현재 프로토콜은 해커와의 자금반환 협상을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동결한 상태다.

[주기영 "지금까지 2600만 달러 상당 PYUSD 발행돼"]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트위터를 통해 페이팔이 스테이블코인 PYUSD를 출시한 가운데, 지금까지 2600만 달러 상당의 PYUSD가 발행됐다"고 전했다. 이어 "수탁형 월렛(custodial wallets)을 관리하기 위해 핫월렛에 300만 ETH이 보관돼 있다. 지금은 규모가 작지만, 잘 규제된다면 큰 잠재력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신 "망고마켓, 해킹 관련 법정 비용으로 어려움"]

지난해 취약점 공격에 노출돼 약 1.16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했던 솔라나(SOL)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망고마켓(MNGO)이 소송, 구제책 모색 등 비용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망고랩스는 올해 한해 예산인 200만 달러 상당을 예상보다 6개월 일찍 소진, 현금 부족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망고랩스는 해킹과 관련해 민사소송, 형사소송 등을 진행하고 있다.

[캐시 우드 "미 SEC, 한번에 다수의 BTC 현물 ETF 승인할지도"]

'돈 나무 언니' 캐시우드(Cathie Wood) 아크 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CEO)가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한번에 다수의 BTC 현물 ETF를 승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SEC가 아크 인베스트의 BTC 현물 ETF 승인 기한을 연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미국 규제당국은 오는 8월 13일(현지시간)까지 해당 신청서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거나 혹은 기한을 연장해야 한다.

[테더 CTO "오늘 3.25억 USDT 상환돼"]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의 최고기술책임자(CTO) 파울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오늘 상환된 테더는 3억 2500만 달러 이상"이라며 "많은 고객들은 온보딩 프로세스를 통해 USDT를 상환할 수 있다. 그런데 온보딩 프로세스와 관련 몇 가지 퍼드(FUD)가 있다. 우리는 은행과 같은 등급의 표준을 준수하기 때문에 '자금 출처'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고객신원확인(KYC)과 자금세탁방지(AML) 조항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많은 암호화폐 회사들이 이런 기본적인 질문을 왜 어렵게 생각하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팍소스 CSO "페이팔 PYUSD, 규제기관이 뒷받침... 차별점 보유"]

팍소스 최고전략책임자(CSO) 월터 헤서트(Walter Hessert)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페이팔의 스테이블코인 PYUSD는 규제기관의 감독을 받는 첫 스테이블코인으로,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 PYUSD가 암호화폐 분야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통되는 스테이블코인의 대다수 점유율은 테더 USDT가 보유하고 있다"며 "PYUSD의 차별점이자 경쟁력은 발행을 맡은 팍소스가 뉴욕금융감독국(NYDFS)의 규제를 받는 신탁회사라는 점이다. 우리에게는 준비금 관리를 비롯해 발행 관련 모든 활동을 감독하는 규제기관이 있다. 이는 해당 코인을 보유하는 모든 사람이 뉴욕의 감독 및 규정에 따라 보호받는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을 파산 리스크다. 팍소스가 파산할 경우, 규제기관인 NYDFS가 개입해 이용자 자산을 보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파이 앱 스태드파이, 해킹 공격 노출... $33.4만 피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디파이 앱 스태드파이(Steadefi)가 공식 트위터(X)를 통해 "해킹 공격에 노출돼 스태드파이에 예치된 모든 자금이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예상 피해액은 33.4만 달러 규모다. 스태드파이 팀은 "현재 해커와 협상을 위해 온체인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전했다.

[센티멘트 "USDT·USDC 거래소 유입 물량 증가... 상승장 시작 신호"]

블록체인 분석 업체 센티멘트가 트위터를 통해 “거래소로 유입되는 USDT와 USDC 물량이 급증했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USDC의 거래소 유입량이 늘어난 후 각각 한달 뒤 암호화폐 상승세가 시작됐다"고 전했다.

[브라질 CBDC 이름 'DREX' 확정]

로이터에 따르면 내년 출시 예정인 브라질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의 이름이 DREX로 결정됐다. DREX는 파일럿 테스트를 마친 뒤 내년 발행된다. 도매용 DREX에는 분산 원장 기술이 적용되며, 은행 간 거래에 사용되며, 소매용 CBDC는 토큰화된 은행 예금으로 쓰인다.

[미 SEC, 암호화폐 펀드 운용사 TFS 영업중단 명령... 게이트키퍼 역할 미수행]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펀드 운용사 TFS(Theorem Fund Services LLC)를 상대로 게이트키퍼(문지기)로써 책임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영업 중단을 명령했다. SEC는 "TFS는 명백한 위험 신호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에게 정확한 내용을 전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TFS에 10만 달러 상당의 민사 벌금을 부과했다.

[아랍에미리트, 베놈 재단과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개발 파트너십]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UAE) 기후변화환경부(MCCE)가 아부다비 소재 블록체인 플랫폼 베놈 재단(Venom Foundation)과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개발 관련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MCCE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탄소배출 크레딧을 기업에 판매하거나 발급할 수 있다. 크레딧 보유자는 주어진 기간 동안 특정 양의 탄소를 배출할 수 있으며, 자체 배출량 상쇄를 희망하는 다른 기업에 이를 판매할 수 있다.

[포브스 "테더, 2분기 실적서 순익 미보고"]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Tether)가 지난주 발표한 2분기 실적에서 순익을 발표하지 않았다고 포브스가 보도했다. 포브스는 "테더는 지난주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이 기간 10억 달러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며, 이는 전 분기 대비 30% 증가한 수치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분기와 지난해 4분기 실적 보고에서는 순익을 각각 14억8000만 달러, 7억 달러라고 보고했는데, 이번엔 순익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순익 보고를 제외한 특별한 설명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테더 측은 "올해 1분기는 재무적 관점에서 이례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15억 달러 상당에 순익에는 BTC 가격 상승에 따른 투자 수익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2분기 순익 미보고 이유나 올 초 기준 BTC 보유량 등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고 포브스는 부연했다.

[맨틀 커뮤니티, 경제위원회 출범 거버넌스 제안 통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더리움 레이어2 솔루션 맨틀네트워크(MNT) 커뮤니티가 맨틀 경제위원회 출범 및 맨틀 LSD(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과 ETH의 스테이킹 관련 거버넌스 제안을 통과시켰다. 거버넌스 제안에 따라 맨틀 경제위원회는 트레저리 자산을 보유하진 않지만, 자산 할당 관련 결정권을 갖는다. 또 맨틀은 라이도와 협력을 통해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을 도입한다.

[도지코인 인플루언서 "후오비 준비금 부실 의혹 커져.. DOGE 인출해야"]

관련 도지코인(DOGE) 커뮤니티 유명 인사인 미샤보어(Mishaboar)가 트위터를 통해 "최근 후오비 준비금 부실 관련 의혹이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거래소가 내세우고 있는 '준비금 증명'은 홍보용에 지나지 않는 점을 기억하길 바란다. 이는 특정 시점에 불과하며 거래소 부채에 대해서는 거의 공개되지 않는다. 도지코인을 인출하라"고 전했다.

[월드코인 앱서 로그인 네트워크 오류 발생... "높은 트래픽 이유"]

포브스에 따르면 일부 월드코인 애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서 로그인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월드코인 측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평소보다 높은 트래픽을 처리하고 있다. 관련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후 재시도할 것을 추천한다"며 "문제 해결에 시간이 얼마나 소요될 지 불분명하다. 다만 현재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빠르 시일 내에 해결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이버캐피털 CIO "월드코인 토큰 이코노믹스 끔찍... 가격 폭락 전망"]

네덜란드 소재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사이버캐피털(Cyber Capital)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저스틴 본스(Justin Bons)가 자신의 트위터(X)를 통해 월드코인을 비난했다. 그는 "월드코인(WLD)의 토큰 이코노믹스는 끔찍하다. 전체 공급량의 1%만 유통되는 구조이자, 소매 투자자가 아닌 벤처캐피털(VC)에만 이익이 돌아가는 약탈적인 구조다. 이는 결국 엄청난 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수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안길 것이며, 개인정보 보호도 지켜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외신 "페이팔, 지난해 스테이블코인 관련 FTX와 협력"]

유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트위터(X)를 통해 "업계 관계자 발언에 따르면 페이팔은 지난 2022년 스테이블코인 PYUSD 프로젝트를 위해 FTX와 협력했었다. 당시 이들은 솔라나 발행을 계획하고 있었다. 페이팔과 FTX는 관련 파트너십 계약서에 서명했으나, 이후 FTX 사태가 발생하면서 중단됐다"고 전했다.

[테더 CTO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출시 환영"]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의 최고기술책임자(CTO) 파울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페이팔의 스테이블코인 세계 입성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앞서 글로벌 결제 기업 페이팔(PayPal)이 페이팔USD(PYUSD)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다고 전한 바 있다.

[알케믹스 "해커, 탈취금 모두 반환... 피해 복구 계획 중"]

디파이 렌딩 프로토콜 알케믹스(ALCX)가 트위터(X)를 통해 "커브파이낸스(CRV) 익스플로잇 피해 관련, 해커가 탈취한 alETH와 ETH을 모두 반환했기 때문에 그들에게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을 계획이다. 현재 해킹 공격 피해 복구 계획을 진행 중이며 이에 대해 적절한 시일 내에 발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해커는 4,820 alETH와 2,258 ETH를 여러차례에 걸쳐 알케믹스 파이낸스에 반환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Aave, V4 업데이트로 '모듈형 대출 시스템' 도입…DeFi 시장 구조 혁신

Aave, V4 업데이트로 '모듈형 대출 시스템' 도입…DeFi 시장 구조 혁신

댓글

댓글

13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블루레인

2023.08.09 23:02:48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8.08 22:15:26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에스

2023.08.08 12:49:3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EDA

2023.08.08 10:59:2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3.08.08 10:59:00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스으읍

2023.08.08 10:42:38

ㄱ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빅리치

2023.08.08 10:26:17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젤로는천사

2023.08.08 10:13:0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ryptoworld

2023.08.08 09:41:2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원픽

2023.08.08 09:36:1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