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김프 리포트] ALPACA·LOOM 음수 펀딩비 주목…차익거래 전략 수익 기회 확대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0
2

5월 1일 기준 ALPACA와 LOOM이 높은 음수 펀딩비를 기록하며 현물-선물 차익거래 전략에 적합한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대 연 수익률은 76.8%에 달할 전망이다.

무기한 스왑의 펀딩비율 순위 / 데이터맥시플러스

무기한 선물은 투자 심리에 따라 현물과 가격 차이가 생긴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차를 조정한다.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이 숏에게, 낮으면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해 현물과 선물 가격 균형을 맞춘다. 이 구조를 활용,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한 상태에서 펀딩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이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높은 펀딩비로 수익 기회를 나타내는 상위 종목들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5월 1일 12시 10분 기준, Alpaca Finance(ALPACA)와 Loom Network(LOOM) 등이 높은 음수 펀딩비를 기록하며 현물-선물 간 펀딩비 차익거래 전략에 적합한 종목으로 부각되고 있다.

ALPACA는 여러 거래소 조합에서 음수 펀딩비 수준이 높게 유지되며 수익 기회가 집중되고 있다. 그 중 MEXC에서 마진 숏 포지션을, Gate.io에서 선물 롱 포지션을 유지하는 전략은 4시간 기준 -3.51%의 펀딩비율이 적용되며, 연환산 수익률은 76.8%, 연간 수익은 약 38만3,580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MEXC와 Bitget 또는 Binance 현물 거래소 간 조합을 통한 거래 전략에서도 비슷한 수익률이 기대되며, 프리미엄 차이(PD)는 각각 0.37%, 0.36%로 비교적 안정적이다.

다른 전략으로는 Gate.io 선물과 Binance 현물 간 ALPACA 거래쌍이 있으며, 이 경우 -0.75%의 펀딩비가 나타나 연 65.4%의 수익률, 연간 약 32만6,620달러의 수익이 예상된다. 같은 조건에서 Bitget과 Gate.io 현물 간 조합도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

LOOM 또한 Gate.io 마진 숏, Gate.io 선물 롱 포지션 전략을 통해 -1.83%의 펀딩비를 기반으로 연 40.1%의 수익과 약 20만 달러 이상의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MEXC 선물-현물 조합 역시 유사한 구조로, 예상 수익은 약 19만9,147달러로 분석된다.

이외에도 Akash Network(AKT)는 Bybit 선물과 Gate.io 현물을 통한 조합에서 -0.47% 펀딩비 기준, 연 10.2%, 연 수익 약 5만913달러의 펀딩비 수익 기회가 있다.

이번 전략의 공통점은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현물 시장에서 마진 숏 포지션을 취하는 방식이며, 특히 펀딩비가 음수로 유지되는 종목일수록 단기간 내 수익 실현이 가능하다. 다만 마진 이자와 거래 수수료 등도 고려해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하위 펀딩 비율

최고·최저 펀딩비 / 데이터맥시플러스

이 시각 최고·최저 펀딩비 종목

🔼 최고 펀딩비 상위 5종목

▲ Gate.io의 AMB/USDT (0.001086)

▲ Gate.io의 SC/USDT (0.000991)

▲ Gate.io의 CHR/USDT (0.000904)

▲ Bitget의 GALA/USDT (0.000791)

▲ Bybit의 MVL/USDT (0.0007758)

🔽 최저 펀딩비 하위 5종목

▲ Bybit의 MVL/USDT (-0.00410444)

▲ Gate.io의 SC/USDT (-0.002379)

▲ Bybit의 MVL/USDT (-0.00278347)

▲ Bitget의 GALA/USDT (-0.000564)

▲ Gate.io의 CHR/USDT (약 0.0003)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높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으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는 현물 매수와 선물 숏(공매도) 전략을 구사해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활용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와 자금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위당당

15:20

등급 아이콘

바다거북이

13:45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