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하루 5분 크립토뉴스] BTC 0.12% ETH 2.97% 상승...국내 스테이블코인 법안 발의와 써클 한국 투자 검토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비트코인은 소폭 상승에 그쳤지만 이더리움이 2.97%, 솔라나가 3.06% 상승하며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김현정 의원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업체에 50억원 자기자본과 금융위 인가를 요구하는 법안을 발의했습니다. USDC 발행사 써클의 한국 가상자산 기업 투자 검토 소식과 함께 글래스노드가 비트코인 반감기 사이클 이론에 따라 10월 고점 가능성을 제시하며 안전과 혁신 사이의 균형점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하루 5분 크립토뉴스] BTC 0.12% ETH 2.97% 상승...국내 스테이블코인 법안 발의와 써클 한국 투자 검토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8월 21일 오늘도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산업의 최신 동향 그리고 주요 소식들 핵심만 딱 간추려서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진행자
네 오늘 저희가 함께 살펴볼 이 자료들을 통해서요. 시장의 흐름 또 중요한 변화들 빠르게 파악하실 수 있도록 저희가 돕겠습니다.

토큰포스트
좋습니다. 그럼 먼저 오후 4시 8분 기준 시장 상황부터 좀 살펴볼까요? 오늘은 뭐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비트코인 BTC는 전일 대비 플러스 0.12% 아주 잠깐 올랐네요. 11만 3801.48달러에 거래되고 있구요.

진행자
네 정말 소폭이네요.

토큰포스트
그쵸. 반면에 이더리움 ETH는 플러스 2.97%로 꽤 올랐어요. 4306.95달러 기록 중입니다.

진행자
네 이더리움 상승세가 좀 눈에 띄네요.

토큰포스트
그리고 XRP는 플러스 0.82% 상승했고 솔라나 SOL도 플러스 3.06%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진행자
네 솔라나도 흐름이 좋구요.

토큰포스트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약 3조 8653억 달러 수준입니다.

진행자
시총 규모는 여전히 상당하네요.

토큰포스트
자 그럼 오늘 가장 주목할 만한 소식으로 넘어가 보죠. 국내 스테이블 코인 관련 법안 발의 소식입니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치 안정형 디지털 자산 발행업 등에 관한 법률안 이걸 대표 발의했는데요. 어 이게 좀 중요해 보여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이게 국내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제도권 안으로 편입시키려는 어떻게 보면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아주 큽니다. 핵심 내용을 좀 보면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려는 사업자는 최소 50억 원 이상의 자기 자본을 갖춰야 하고요. 또 금융위원회 FSC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아 인가제군요. 허가제가 아니라

진행자
네, 그렇죠. 그냥 신고나 등록이 아니라 인가예요. 그리고 건전한 사업 계획이라던지 뭐 인력 물적 설비 요건 같은 것도 다 포함되어 있구요.

토큰포스트
상당히 좀 까다로운 기준이네요. 50억 원 자기자본의 인가까지 받으려면

진행자
네 진입 장벽이 꽤 높다고 볼 수 있죠.

토큰포스트
그럼 해외에서 이미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 있잖아요. 뭐 USDC나 USDT 같은 이런 걸 국내에서 유통하려면 어떻게 되나요? 이것도 뭔가 조항이 있다고 하던데요.

진행자
아 네 그 부분도 중요한데요. 해외 발행 스테이블 코인을 국내에서 유통하려는 경우에도 금융위에 등록해야 한다는 일종의 특례 조항이 마련됐습니다.

토큰포스트
등록이요. 인가은 아니고

진행자
네 일단은 등록입니다. 이건 아무래도 국내 이용자를 보호하고 또 시장 투명성을 좀 강화하려는 그런 조치로 해석이 됩니다. 앞으로 이게 국내 스테이블 코인 시장 성장에 또 규제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좀 지켜봐야 할 중요한 부분이죠.

토큰포스트
그렇죠. 관련 사업이나 투자를 고려하시는 청취자분들이 계시다면 이 법안 진행 상황 정말 주의 깊게 보셔야겠네요.

진행자
네 꼭 그러셔야 할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이어서 다른 주요 헤드라인들도 좀 간략하게 짚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는요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 USDC 발행사죠 써클 이 한국 가상 자산 기업 투자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입니다. 써클의 히스 타버트 총괄사장이 직접 방한해서 국내 4대 금융지주 최고위층과 만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이건 어떻게 보세요.

진행자
네 이것도 상당히 흥미로운 소식인데요. 앞서 말한 스테이블 코인 법안 움직임과 또 맞물려서 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글로벌 기업이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고 또 규제가 명확해지는 걸 오히려 기회로 삼으려는 걸 수도 있겠죠. 가지고 있다는 건 분명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알겠습니다. 두 번째 헤드라인은 글래스 노드 분석인데요. 비트코인 BTC의 4년 반감기 사이클 이론 이게 뭐 여전히 유효할 수 있다. 그러면서 이르면 오는 10월에 고점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분석이 나왔어요.

진행자
네 글래스 노드 분석은 항상 시장 참여자들이 주목하죠. 근거로는 장기 보유자들이 이제 차익 실현을 하고 있다. 그리고 현물 ETF 자금 유입이 좀 둔화되고 있다. 이런 점들을 제시했는데요. 뭐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이니까요? 충분히 일리는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근데 또 반론도 만만치 않다고 하던데요.

진행자
그렇죠. 이번 사이클은 아시다시피 현물 ETF 승인이라는 아주 큰 변수가 있었구요. 기관 수요 같은 새로운 요인들이 많아서 과거 사이클 이론이 그대로 적용되기 어렵다는 반론도 상당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하긴 뭐 ETF 하나만으로도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판이니까요?

진행자
네 그래서 사이클 이론의 유효성이냐 아니면 새로운 변수에 영향력이 더 크냐 이걸 놓고 계속 의견이 갈리는 것 같아요. 예측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거죠.

토큰포스트
정말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시장인 것 같습니다.

진행자
그렇습니다. 그래서 오늘 이렇게 살펴본 것처럼 스테이블 코인 법안부터 시작해서 글로벌 기업의 움직임 또 BTC 사이클 논쟁까지 정말 변화가 끊이지 않는데요. 특히 오늘 중점적으로 다룬 이 스테이블 코인 법안 이게 참 중요한 질문을 던지는 것 같아요. 이용자 보호라는 안전과 또 산업 육성이라는 혁신 사이에서 과연 어떤 균형점을 찾아가야 할 것인가? 청취자 여러분께서도 한번 이런 규제 움직임이 앞으로 우리 한국 디지털 자산시장의 혁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좀 깊이 생각해 보시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촉진제가 될지 아니면 좀 발목을 잡게 될지

토큰포스트
네 아주 중요한 화두를 던져 주셨네요. 안전과 혁신 사이의 균형 오늘 논의는 여기까지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진행자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엠마코스모스

21:50

등급

Slowpoke82

19:37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8.21 21:50:4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