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하루 5분 크립토뉴스] BTC 1.8% 상승 ETH 5.94% 상승 강세...이더리움 고래 6억7천만달러 매집과 ETF 자금 폭발적 유입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8월 8일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은 1.8% 상승한 11만 6757달러, 이더리움은 5.94% 급등한 3915달러를 기록하며 알트코인으로의 자금 이동 흐름을 보였고, 익명의 고래 투자자가 나흘간 6억 7천만 달러어치 이더리움을 매집하며 기관과 대형 투자자들의 공격적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핵심 업그레이드인 푸사카가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되어 기술적 현실과 시장 기대감 사이의 줄다리기가 주목받고 있다.

 [하루 5분 크립토뉴스] BTC 1.8% 상승 ETH 5.94% 상승 강세...이더리움 고래 6억7천만달러 매집과 ETF 자금 폭발적 유입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은 2025년 8월 8일 금요일이네요. 오늘 암호화폐 시장에 또 어떤 새로운 소식들이 있었는지 가장 중요한 내용들만 저희가 쏙쏙 뽑아서 전해드리겠습니다.

진행자
네 바쁘시더라도 시장 흐름 놓치지 않게 저희가 딱 짚어드릴게요.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오늘도 복잡한 정보들 속에서 중요한 흐름 그리고 그 의미를 좀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진행자
좋습니다. 그럼 먼저 오후 4시 기준으로 주요 암호화폐 시세부터 한번 볼까요? 시장이 전반적으로는 좀 섞여있는 느낌이네요. 혼조세요. 비트코인 BTC는 24시간 전보다 한 1.8% 정도 올랐습니다. 그래서 11만 6757.99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네요.

토큰포스트
네 하나로 치면 1억 6천만 원 조금 넘는 수준이죠.

진행자
맞아요. 그리고 이더리움 ETH가 오늘 눈에 띄는데요. 와 5.94%나 상승했어요. 3915.64달러입니다.

토큰포스트
거의 4천 달러에 근접했네요. 상승세가 강합니다.

진행자
리플 XRP도 굉장히 강합니다. 11.50% 급등했구요. 솔라나 SOL 역시 한 3.28% 오르면서 뭐 괜찮은 흐름 보여주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여기서 근데 좀 흥미로운 지점이 있어요.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은 60%로 살짝 아주 살짝 줄었거든요. 반면에 이더리움 점유율은 12.2%로 늘었습니다. 이게 뭐 단순히 가격만 보는 것보다 자금이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 같은 주요 알트코인 쪽으로 좀 이동하고 있나 이렇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거죠.

진행자
그 점유율 변화와 상당히 의미 있어 보이네요. 그리고 스테이블 코인이나 파생상품 거래량도 어제보다 확 늘었어요. 각각 40% 48% 이렇게 급증했는데

토큰포스트
네 이건 뭐 시장 변동성에 반응하는 걸 수도 있고 아니면 그냥 유동성 자체가 좀 늘어난 신호일 수도 있겠고요. 그렇죠. 여러 해석이 가능하겠네요. 자 그럼 이제 가장 뜨거운 뉴스로 한번 넘어가 볼까요? 오늘 뭐니 뭐니 해도 이더리움 소식이 제일 주목받는 것 같습니다.

진행자
네 맞아요. 익명의 고래 투자자 있잖아요. 이 거액 투자자가 지난 나흘 동안에만 무려 6억 7천만 달러어치 이더리움을 매집했다는 거예요.

토큰포스트
와 6억 7천만 달러라

진행자
네 이게 개수로는 17만 개가 넘는 이더리움이고 이걸 또 6개의 세 지갑으로 나눠서 옮겼다고 하더라구요. 심지어 바로 조금 전 한 시간 전에도 9천만 달러 어치를 추가로 샀다고 합니다.

토큰포스트
이야 정말 엄청난 규모네요. 근데 이게 단순히 어떤 한 명의 뭐 큰 손 움직임이다. 이렇게만 볼 건 아닌 것 같애요.

진행자
아 그런가요? 네 왜냐하면, 거의 동시에 미국에서 거래되는 이더리움 현물 ETF 있잖아요. 여기에도 3거래일 연속으로 자금이 계속 순유입되고 있거든요.

토큰포스트
아하 ETF 자금도 같이 들어오고 있다.

진행자
그렇죠. 어제 하루만 해도 2억 2천만 달러 이상 우리 돈으로 3천억 원 넘게 들어왔는데 이게 또 특히 블랙록이나 피델리티 같은 아주 큰 운용사 상품으로 돈이 몰리고 있다는 점이에요.

토큰포스트
와 그러니까 개인 큰 손으로 보이는 지갑 움직임이랑 기관으로 볼 수 있는 ETF 자금 유입이 동시에 그것도 아주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거군요. 이거 뭘 의미한다고 해석해야 할까요?

진행자
글쎄요 표면적으로 보면 굉장히 긍정적인 신호죠 어떤 특정 기관이나 정말 큰 자본력을 가진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의 미래 가치를 상당히 좋게 보고 있다. 그래서 좀 공격적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 이런 강력한 증거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토큰포스트
최근 이더리움 가격 강세랑도 딱 연결이 되는 부분이네요.

진행자
맞습니다. 왜 이렇게 오르나 했는데 이런 배경이 있었던 거죠. 다만 뭐 이런 대규모 자금 유입이 항상 장기적인 상신을 보장하는 건 아니니까요? 이 유입이 세속될지 또 어떤 배경이 더 있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아 그리고 참고로 비트코인 현물 ETF에도 이틀 연속으로 자금이 순유입됐다는 소식도 같이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진행자
네 시장 전반적으로 자금 흐름이 나쁘진 않은 것 같네요.

토큰포스트
맞아요. 자 그 외 또 주목할 만한 다른 소식들도 몇 가지 빠르게 짚어볼게요 첫 번째는 그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가 스페인에 굉장히 큰 은행이죠. 비비위에이 이 은행을 커스터디 업체로 선정했다는 소식입니다.

진행자
커스터디라면 이제 디지털 자산 보관해 주는 파트너로 삼았다는 거군요.

토큰포스트
그렇죠. 암호화폐랑 전통 금융이랑 점점 더 가까워지는 모습이네요.

진행자
또 하나 재미있는 소식은 엣지엑스라는 탈중앙화 파생상품 플랫폼이 있어요. 여기 프로토콜 수익이 급증해서 이더리움을 추월하고 전체 12위까지 올라섰다고 합니다.

토큰포스트
와 이더리움을요 대단하네요.

진행자
네 디파이 분야의 혁신이 정말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홍콩 소식도 하나 있습니다. 애니모카 브랜드 그리고 스탠다드 차타도 홍콩 또 현지 통신사 에이치케이티 이 3곳이 손을 잡고 홍콩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려고 합작사를 세우고 라이센스를 신청했다네요.

진행자
아 홍콩 쪽 스테이블 코인 경쟁도 이제 본격화 되겠네요. 아시아 시장에서요

토큰포스트
그렇죠. 그런데 마냥 좋은 소식만 있는 건 아니에요. 기술적인 이슈가 하나 있는데, 이더리움 재단 관계자가 올해 하반기에 예정됐던 푸사카라는 업그레이드가 좀 지연될 수도 있다고 언급을 했어요.

진행자
아 푸사카 업그레이드요 중요한 업데이트인데

토큰포스트
네 아무리 시장 기대감이 커도 이 핵심 기술 개발이라는 게 계획대로 딱딱 진행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진행자
맞습니다. 오늘 쭉 살펴볼 것처럼 이더리움을 둘러싼 시장의 기대감 또 거대 자본의 움직임은 정말 뜨거워요 뭐 ETF 자금 유입이라던지 고래 매집이 딱 보여주잖아요. 하지만 동시에 방금 말씀하신 것처럼 핵심 기술 업그레이드가 좀 늦어질 수 있다는 소식은 이런 낙관론에 약간의 우려를 더하는 부분이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 강력한 시장의 관심과 자금력이 과연 기술 개발에 잠재적 어려움을 이겨내고 이더리움의 성장을 계속 이끌어 갈까요?

토큰포스트
아니면 혹시 이런 개발 지연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뜨거운 열기를 좀 식히는 요인이 될 수도 있을까요?

진행자
네 바로 그 지점입니다. 시장의 기대와 기술적 현실 사이의 줄다리기 앞으로 이게 어떻게 전개될지 지켜보는 게 상당히 중요해 보입니다.

토큰포스트
네 오늘 저희가 준비한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저희가 전해드린 정보가 여러분의 현명한 판단과 정보 습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상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1mini

00:25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8.09 00:25:05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5.08.08 22:59:2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