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SEC,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 '비증권' 가이드라인… DeFi·ETF 활성화 길 열렸다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6
좋아요 비화설화 7

SEC가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이 증권이 아닐 수 있다는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업계는 이를 제도권 수용 확대의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SEC,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 '비증권' 가이드라인… DeFi·ETF 활성화 길 열렸다 / TokenPost.ai

SEC,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 '비증권' 가이드라인… DeFi·ETF 활성화 길 열렸다 / TokenPost.ai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에 대한 가이던스를 발표하면서, 업계 전반이 이를 탈중앙금융(DeFi) 활성화와 제도권 수용 확대의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디지털 자산 시장 내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했던 유동성 토큰과 관련해, 새로운 규제 틀을 마련했다는 데 큰 의미를 가진다.

SEC는 25일(현지시간) 발표한 자료에서 특정 조건 하에 유동성 스테이킹 활동과 이로 인해 발행되는 수익 기반 토큰이 반드시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즉, 해당 토큰들이 투자계약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증권법 적용 대상이 아닐 수 있다고 명시한 것이다.

블록체인 개발사 올루비얼(Alluvial)의 마라 슈미트(Mara Schmiedt) CEO는 “이제 기관들은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을 상품에 자신있게 통합할 수 있게 됐다”며, “이로 인해 새로운 수익 모델이 생기고, 고객층을 넓히는 동시에 스테이킹 자산을 위한 2차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결정은 메이저 투자자들의 참여를 촉진시켜 디지털 자산 시장 전체의 주류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간 암호화폐 업계는 유동성 기반 토큰의 규제 위치에 대한 SEC의 명확한 해석을 기다려왔다. 특히 솔라나(SOL) 생태계와 관련된 프로젝트들은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의 ETF 편입 가능성을 타진하며 적극적인 규제 대응 움직임을 보여왔다. 지난주에는 솔라나 커뮤니티 관계자들이 직접 SEC에 의견서를 제출, 해당 토큰이 기존 증권 규제를 벗어날 수 있도록 대응에 나선 바 있다.

이번 가이던스 발표는 그간 SEC가 사실상 무관용에 가까운 규제 정책으로 일관해왔던 점을 고려하면, 극히 이례적인 유화 조치로 평가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 재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규제 당국의 기류가 완화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가운데, 제도권 진입 장벽을 낮춘 이번 조치는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시그널을 주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6

추천

7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7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디스나

11:01

등급

Slowpoke82

10:38

등급

달돌달돌

09:58

등급

WayneKIM

09:47

댓글 6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8.06 11:01:4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달돌달돌

2025.08.06 09:58:2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N_ZRI8G

2025.08.06 09:51:17

AI로 쓰셨나 '트럼프 재선 가능성이 높아져'???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08.06 09:16:3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빅리치

2025.08.06 08:51:5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8.06 08:31:54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