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 서명한 행정명령이 401(k) 퇴직연금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이 조치로 인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같은 대표적인 암호화폐가 미국의 퇴직연금 포트폴리오에 기본 옵션으로 포함될 가능성이 열렸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 행정명령이 현실화될 경우, 최대 약 169조 5,800억 원(122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이 구조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번 명령은 미 노동부, 증권거래위원회(SEC), 재무부에 기존의 퇴직연금 투자제한 규정을 재검토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자산운용사들은 연금상품 구성에서 암호화폐 기반 ETF나 사모펀드를 ‘슬리브(sleeve)’ 형태로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동투자 상품인 타깃데이트펀드(TDF)나 집합투자신탁(CIT)에 암호화폐가 편입되면, 근로자가 ‘내려놓고 투자하는’ 방식으로 자금이 자동 유입되는 구조인 만큼, 매달 급여에서 일정 금액이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으로 꾸준히 투자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정책 영향력을 살펴보면, 미국의 확정기여형 퇴직연금(DC) 시장 규모는 총 12조 2000억 달러(약 1경 6,958조 원)에 달하며, 이중 8조 7000억 달러(약 1경 2,093조 원)는 401(k) 계정에 속해 있다. 투자자문사들이 단 0.1%의 암호화폐 슬리브를 기본투자옵션으로 설정했을 경우에도 이론상 약 약 1조 6,958억 원(122억 달러)의 자금이 유입된다. 여기에 시장의 50%가 1% 비중의 슬리브를 채택할 경우 구조적인 유입 취합 규모는 약 84조 9,000억 원(610억 달러)에 달한다.
실제 유입액은 각 연금계획의 기본편입비중과 슬리브 도입여부에 따라 달라지지만, 정책 설계 및 유권해석이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관련 인프라가 빠르게 갖춰질 경우, 향후 몇 년 내 미국 퇴직연금에서 암호화폐 투자 비중이 구조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단기적인 가격 상승보다도 ETF 기반 일차시장(Primary Market)에서의 안정적인 매수 흐름을 만들어내며 암호화폐 시장에 제도금융 기반의 수급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이미 일부 대형 TDF 운용기관들은 사모시장 자산군을 신규 상품에 편입하고 있으며, 향후 암호화폐 역시 이런 분석 및 편입 구조 속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도권 시장의 본격적인 참여를 예고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번 조치가 퇴직자 자산의 다변화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일 수 있지만, 암호화폐의 변동성, 유동성 한계, 수수료 구조 등의 리스크 설계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허용 논의에만 머물렀던 401(k) 내 암호화폐 접근을 실질적인 ‘자산 배분’ 경쟁 구도로 끌어올린 중요한 전환점이다. 향후 관련 부처의 세부 지침 발표, 상품설계 및 플랫폼 편입, 가입자 설명 체계 구축이 잇따라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암호화폐 시장은 이번 조치를 계기로 미국 퇴직연금 시장의 자산 구조 속에 점진적이면서 안정적인 자산군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