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명령, 美 401(k) 연금에 비트코인(BTC) 투자 허용 추진…9조 달러 시장 열린다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트럼프 대통령이 9조 달러 규모의 미국 퇴직연금 시장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편입을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추진한다. 제도권 진입 본격화로 자산운용사들도 연금 상품 마련에 나섰다.

 트럼프 행정명령, 美 401(k) 연금에 비트코인(BTC) 투자 허용 추진…9조 달러 시장 열린다 / TokenPost.ai

트럼프 행정명령, 美 401(k) 연금에 비트코인(BTC) 투자 허용 추진…9조 달러 시장 열린다 / TokenPost.ai

미국 퇴직연금 시장 개방을 겨냥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비트코인(BTC)과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진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정명령은 약 9조 달러(약 1경 2,510조 원)에 달하는 미국 퇴직연금 시장을 향한 문을 열며, 특히 401(k) 연금계좌에서의 암호화폐 편입을 법적으로 보호하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401(k) 제공자가 암호화폐 투자 옵션을 내놓는 데 있어 법적 책임 우려 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미국 노동부에 자산 구성 규정을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주식, 채권, 뮤추얼펀드, 금과 같은 전통 자산 중심으로 구성되던 퇴직연금에 비트코인 및 대체자산이 포함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5월, 바이든 행정부 시절 제정된 암호화폐 투자 제한 지침을 철회한 바 있다. 이후 관련 규제 개선의 토대를 정비해 왔으며, 이번 행정명령은 그 연장선에서 퇴직연금 내 비트코인 투자를 명확히 허용하는 주요 이정표로 해석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자산도 합법적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를 잡아갈 수 있게 된다.

시장에서는 이미 대응이 시작됐다. 블랙록($BLK),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 등 대형 자산운용사들이 암호화폐 연금상품 개발을 준비하며 제도화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다만, 실제 도입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규제 해석이 구체화돼야 하고, 퇴직연금 제공자의 리스크 관리 기준도 재정립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변화는 단순한 제도 변경을 넘어, 디지털 자산이 미국의 주류 금융 생태계로 흡수되는 신호탄으로도 받아들여진다. 401(k)로 매월 급여에서 자동 투자되는 구조 특성상, 비트코인에 대한 지속적 수요 유입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변동성이 낮은 암호화폐까지 퇴직계좌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의 은퇴자산이 비트코인 중심에서 더 다변화된 디지털 포트폴리오로 확장될 경우, 이는 장기 수요를 보강하며 암호화폐 시장 안정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단기적인 호재를 넘어, 암호화폐가 전통자산과 공존하는 새로운 투자 국면을 여는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제도 정비와 금융사의 준비가 함께 이뤄진다면, 퇴직연금과 암호화폐가 하나의 테이블에서 논의되는 시대도 머지않아 도래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