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폴리곤 공동창업자 "비자 결제 논란, 단선적 비난보다 실용적 접근 필요"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폴리곤 공동창업자 미하일로 블리릭이 비자의 암호화폐 결제 관여 논란에 대해 실용적 접근을 강조하며 비탈릭 부테린의 비판에 반박했다.

 폴리곤 공동창업자

폴리곤 공동창업자 "비자 결제 논란, 단선적 비난보다 실용적 접근 필요" / TokenPost.ai

폴리곤(MATIC) 공동 창업자인 미하일로 블리릭(Mihailo Bjelic)이 비자(Visa)의 암호화폐 생태계 참여와 관련해 불거진 논란에 대해 직접 입을 열었다. 블리릭은 최근 온라인 플랫폼 X를 통해 발언하며, 비자에 대한 단편적인 비판보다는 보다 균형 있고 실용적인 시각을 강조했다.

이번 논란은 이더리움(ETH)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먼저 제기한 것으로, 비자가 계산 시점에서 수수료 명목으로 몇 퍼센트씩을 공제하는 구조가 지나치게 ‘수탈적’이라는 지적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블리릭은 이에 대해 “이는 단지 강력한 시장 지위를 활용하는 경쟁력 있는 행위일 뿐이며, 이를 억압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반박했다.

특히 문제의 핵심으로 떠오른 것은 일부 성인 게임 콘텐츠들이 결제 수단으로 비자를 배제할 것을 우려해 자발적으로 콘텐츠를 삭제한 사례다. 이에 대해 블리릭은 “해당 조치는 플랫폼들이 규제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취한 자기 검열”이며, 이를 억압으로 해석하는 것은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강간이나 근친상간을 묘사한 게임에 대한 결제 연동을 거부한 것이 어떤 방식으로든 암호화폐 생태계에 해가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해당 발언은 비자와 암호화폐 산업 간의 지속된 긴장감 위에 던져진 균형추 역할을 했다. 일각에서는 중앙집중화를 우려하며, 단일 결제 기업이 콘텐츠 정책을 좌우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암호화폐가 지향하는 탈중앙화 철학과 정면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비자는 최근 암호화폐 지갑 기업 탕겜(Tangem)과 제휴를 맺고 하드웨어 지갑과 비자 신용카드 결제를 결합한 상품을 선보였다. 이 같은 행보는 암호자산과 법정화폐 간 경계를 허물려는 시도로, 시장에서는 양면적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암호화폐의 실사용 확대라는 긍정적 평가가, 또 다른 측에서는 기존 금융의 색채가 짙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공존한다.

블리릭의 발언은 암호화폐와 기존 금융 기관 간의 관계 재정의 필요성을 다시금 환기시켰다. 그가 강조한 것처럼, 기술의 발전과 시장의 확장은 윤리성과 법적 기준 위에서 조정해야 하며, 단선적인 비난보다는 실용적 대처가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00:06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8.10 00:06:2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