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은 4일(현지시간) 1개당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심리적 지지선을 하회하며 급락세를 보였다. 이번 급락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이 정부의 비트코인 추가 매입 계획이 없다고 발표한 직후 발생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해당 발언 뒤 비트코인은 단기간에 하락 압력을 받으며 11만 8,730달러(약 1억 6,528만 원) 선까지 밀렸다. 최근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을 일부 보유하고 있는 만큼, 자산 확충 여부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좌우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해왔다.
시장에서는 재무부의 이번 입장을 비트코인에 대한 ‘정책적 거리두기’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조 바이든 행정부가 디지털 자산에 대해 신중한 접근을 유지함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 측의 상대적으로 친(親)암호화폐 기조와 맞물려 오는 대선에서도 주요 쟁점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수요 부재가 시장 전반의 상승세를 둔화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블룸버그 경제 분석가 제임스 세이퍼는 “미국 정부의 매입 의지가 없다는 것은 단기적으로 실망감을 줄 수 있고, 이는 심리적 지지선 하락으로 이어지기 쉽다”고 진단했다.
이번 하락은 여타 주요 암호화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폴카닷(DOT) 등 주요 코인은 소폭 하락세를 동반했으며, 장기 상승 모멘텀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비트코인은 올해 들어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리며 기관 투자자 관심을 모았다. 특히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기관 자금 유입이 크게 늘었지만, 정부 수요가 빠지면서 그 효과가 일부 상쇄되는 모습이다.
향후 비트코인 가격 흐름은 정책 리스크, 특히 미 정부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조 변화 및 규제 방향에 따라 크게 좌우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양당의 암호화폐 정책이 또 다른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