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무역 정책이 장기적인 불확실성을 키우는 가운데, 그와 연계를 맺고 있는 일부 관리들이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관련 산업에 투자하고 있다는 정황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무역 정책 발표 직후 특정 자산 또는 산업군에 투자가 몰리는 상황은 이해 충돌 의혹까지 야기하고 있다.
이번 주 초,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했다. 그러나 동시에 미 상무부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는 400개 이상의 품목에 신규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에는 풍력 터빈부터 이동식 크레인, 철도 차량, 오토바이, 건설 장비까지 산업 전반이 포함돼 있어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진 상태다.
이에 대해 전미외국무역협의회(NFTC)는 공식 성명에서 “관세 정책이 기업의 성장을 지연시키고, 운영에 혼란을 초래하며, 법적 리스크까지 증폭시키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제되지 않은 관세 운용은 글로벌 공급망뿐만 아니라 미국 국내 기업에도 적지 않은 부담을 주고 있는 셈이다.
특히 이 같은 무역 불확실성이 장기화되자,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일부 인사들이 암호화폐와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산업에 집중 투자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무역 규제가 심화될 때마다 시장이 비트코인(BTC) 등 대체 자산으로 움직이는 사례가 반복되면서, 이들 고위 인사들이 이를 인지하고 투자 수단으로 암호화폐를 활용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단기 정치적 목적을 넘어 시장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암호화폐와의 연결 고리는 단순한 객기가 아닌 정치와 투자 간 공고한 연계 구조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거시 정책이 자산 시장과 맞물리는 현상은 당연하지만, 정책 입안자의 직접적인 이해관계 여부는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