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시장 사이클은 '반감기' 중심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장 참여자 다수가 반감기를 기반으로 불·약세장이 반복된다고 믿고 있지만, 실제로는 채택 흐름과 시장 구조가 주된 동력이라는 주장이다.
온체인 분석가 제임스 첵(James Check)은 최근 자신의 SNS를 통해 "개인적으로 비트코인은 지금까지 세 번의 사이클을 겪었지만, 그것들이 반감기와 맞물려 발생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비트코인의 가격 흐름이 전통적 채굴 보상 감소 일정이 아닌, 거시적 수용과 구조적 변화에 의해 결정된다고 진단한다.
첵 분석에 따르면, 시장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초기 소매 채택이 주도한 ‘채택 사이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무분별한 레버리지와 과열을 특징으로 한 ‘청소년기 사이클’, 그리고 2022년 이후 제도권 자본과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성숙기 사이클’로 구분된다. 특히 2017년의 고점과 2022년의 저점이 각 사이클 전환의 주요 분기점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22년의 약세장을 기점으로 시장 기조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며, "과거의 반복을 믿고 있는 사람들은 변화를 간과하고 있고, 이는 역사적 소음(historical noise)만을 보고 진짜 시그널을 놓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분석은 비트코인 반감기 일정(통상 4년 주기)이 과거 급등락의 발화점이 아니었다는 시각을 뒷받침한다. 2024년 반감기를 앞두고 다양한 전망이 쏟아지는 가운데 제임스 첵의 주장은 투자자들에게 시장 동력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