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이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를 도입하면서 HSBC와 중국공상은행(ICBC)이 스테이블코인 라이선스 취득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현지 금융당국인 홍콩금융관리국(HKMA)에 정식 신청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 유력 매체 홍콩경제일보는 1일 보도를 통해, HSBC와 ICBC가 홍콩 내 스테이블코인 발행 또는 관련 업무를 위한 라이선스 취득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식 허가가 발급되면, 양사는 세계 주요 금융기관 중 가장 먼저 해당 라이선스를 보유한 사례가 될 전망이다. 다만 이들 은행은 보도 시점 기준으로 공식적인 언급을 하지 않은 상태다.
HKMA는 앞서 올해 상반기부터 시행에 들어간 스테이블코인 감독 제도와 관련해 “초기에는 소수의 라이선스만 발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규제의 일환으로, 발행 주체의 자본력과 준비금 보유 여부, 거래 투명성 등이 중요한 심사 기준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초기 라이선스 발급 대상에는 ICBC 외에도 영국계 은행 스탠다드차터드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두 금융기관은 제도 시행 초기에서 빠르게 움직이면서, 선도적 위치를 점할 유리한 고지를 확보한 셈이다. 스테이블코인 산업 초기 진입을 통해 시장 주도권을 쥘 수 있기 때문이다.
홍콩 당국이 지난 8월 마감한 예비 신청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 77개 기업과 기관이 관심을 보였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규제 요건이 예상보다 까다롭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홍콩이 자국 내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성장시키면서도,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엄격한 관리 체계를 구축하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홍콩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 관련 친중 성향 논란을 의식한 듯, 민간 주도의 Web3 산업 허브로 진화하겠다는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규제 프레임워크는,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가 아시아 진출을 고려할 때 중국과 서방의 가교 역할을 하는 플랫폼으로서 홍콩의 입지를 강화할 계기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