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편집자주]
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비스퀘어드 네트워크(B2)
현재가 0.742달러 | ATH 0.752달러 (–1.35%)
② 스카이파낙스(SKX)
현재가 1.99달러 | ATH 2.00달러 (–0.32%)
③ 파파라치(PAPARAZZI)
현재가 0.0279달러 | ATH 0.0285달러 (–2.04%)
④ 나스닥666(NDQ)
현재가 0.0261달러 | ATH 0.0261달러 (+0.08%)
⑤ 아리스토틀 바이 버추얼(FCAY)
현재가 0.0398달러 | ATH 0.0426달러 (–6.65%)
이 외에도 ▲펑크스트래티지(PNKSTR)까지 6개 종목이 신고점을 경신했다. 파파라치와 나스닥666처럼 상대적으로 시가총액이 작은 종목도 ATH를 새로 기록하며 단기적인 유동성 유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일부 종목은 신고가 달성 이후 소폭의 조정을 받으며 차익 실현 움직임이 동반된 모습이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다양한 종목에서 거래 활성이 나타나며 단기적인 매수세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썬더코어(TT)
현재가 0.00240달러 | ATL 0.00236달러 (+1.82%)
② 토큰아이즈 익스체인지(TKX)
현재가 2.21달러 | ATL 2.21달러 (+0.34%)
③ 디카르고(DKA)
현재가 0.0133달러 | ATL 0.0133달러 (+0.23%)
④ 마이네이버앨리스(ALICE)
현재가 0.314달러 | ATL 0.312달러 (+0.65%)
⑤ 본 시바스왑(BONE)
현재가 0.146달러 | ATL 0.143달러 (+2.03%)
이 외에도 ▲지온(XION) ▲오아시스(OAS) ▲이클립스(ES) ▲미토스(MYTH) ▲스위치보드(SWTCH) ▲디멘션(DYM) ▲칼데라(ERA) ▲폴리헤드라 네트워크(ZKJ) ▲타운즈(TOWNS)와 추가 30여 개 종목이 이날 신저점을 기록했다. MYTH, DYM 등 직전 고점 대비 90% 이상 조정을 겪은 종목도 다수 포함됐다. 거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프로젝트일수록 저점 갱신 폭이 두드러졌으며, 일부 종목은 ATL 근처에서 소폭 반등하는 흐름을 보였다. 시장 전반적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다양한 종목에서 저점 갱신이 확인됐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11,761달러 | ATH 124224달러 (–10%)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4027달러 | ATH 4948달러 (–18.6%)
③ 리플(XRP)
현재가 2.86달러 | ATH 3.84달러 (–25.5%)
④ 바이낸스코인(BNB)
현재가 997.06달러 | ATH 1079달러 (–7.61%)
⑤ 솔라나(SOL)
현재가 205.58달러 | ATH 293.65달러 (–30%)
최근 상위 5개 주요 종목은 모두 직전 고점(ATH) 대비 조정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각각 10% 내외, 20% 내외의 조정을 받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반면, 리플과 솔라나는 25% 이상 하락 폭이 커졌다. BNB는 –7%대로 낙폭이 가장 작아 상대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고점에서 숨 고르기를 이어가며 단기 조정 구간에 들어선 양상이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인피니트(IN) 현재가 0.0922달러
ATH 0.124달러 (–25.5%) | ATL 0.0543달러 (+69.8%)
② 리네아(LINEA) 현재가 0.0268달러
ATH 0.0437달러 (–38.6%) | ATL 0.0218달러 (+22.9%)
③ 라그랑주(LA) 현재가 0.384달러
ATH 1.81달러 (–78.8%) | ATL 0.237달러 (+61.8%)
④ 헤미(HEMI) 현재가 0.156달러
ATH 0.189달러 (–17.5%) | ATL 0.0168달러 (+831.6%)
⑤ 플록(FLOCK) 현재가 0.307달러
ATH 0.908달러 (–66.2%) | ATL 0.0354달러 (+766.4%)
최근 상위 5개 프로젝트는 공통적으로 ATH 대비 큰 폭의 조정을 받은 가운데, ATL에서는 두 자릿수 이상의 반등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헤미와 플록은 ATL 대비 각각 800% 이상, 700% 이상 상승하며 단기 급등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라그랑주는 여전히 ATH 대비 70% 이상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회복세가 제한적이다. 국내 투자자 입장에서는 급락 이후 단기 반등 여력이 큰 신규·중소형 프로젝트에 관심이 집중되는 양상이 뚜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