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국가 차원의 암호화폐 보유고 구축을 검토하는 가운데,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발표한 신규 보고서는 정부가 이미 수십조 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사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상황에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같은 잠재적 자산은 향후 중앙정부의 보유 전략과도 맞물릴 수 있어 주목된다.
체이널리시스는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서 불법 활동과 연관된 온체인 암호화폐 자산 규모가 750억 달러(약 104조 2,500억 원)를 넘어선다고 추산했다. 이 중 약 150억 달러(약 20조 8,500억 원)는 불법 단체가 직접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600억 달러(약 83조 4,000억 원)는 이들과 간접적으로 연결된 지갑에 분산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다크넷 마켓 운영자들과 판매자들이 통제하고 있는 암호화폐만 해도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주요 범죄 조직과 사이버 범죄 집단이 여전히 퍼블릭 블록체인 상의 자산을 상당수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체이널리시스는 또 암호화폐별 보유 분포도 공개했는데, 전체 불법 관련 자산의 약 75%는 비트코인(BTC)으로 구성돼 있는 반면, 스테이블코인의 비중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해킹이나 금융사기 등 범죄 수익이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여전히 활발히 이동되고 있으며, 특정 자산의 금융 추적성과 회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단서로 분석된다.
암호화폐 시장의 규제 정비와 정부 주도의 보유 정책이 중요한 시점에서, 이번 보고서는 블록체인 내 회수 가능한 자산 풀의 전모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공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공개 지지한 비트코인을 비롯해 암호화폐가 정치권의 주목을 받는 가운데, 관련 자산의 회수와 활용 전략이 새로운 정책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