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프로토콜 V23 업그레이드로 상승 모멘텀 찾을까
파이코인이 주요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를 앞두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상승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10일 기준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파이코인은 약 0.235달러(약 315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낮은 유동성과 중앙화 우려로 인해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
하락세 지속되는 파이코인, 돌파구는 어디에
파이코인은 0.235달러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30일간 약 31.6%, 3개월간 약 50% 가까운 하락률을 나타냈다. 시장 분석가들은 "파이코인이 0.25달러(약 335원) 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단기적으로 0.28달러(약 375원)에서 0.30달러(약 402원)까지 반등할 여지가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뚜렷한 기술적 또는 구조적 개선이 없을 경우, 하락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파이코인의 낮은 유동성과 네트워크 중앙화 문제는 가격 회복의 가장 큰 제약 요인 중 하나다. 현재 기준 파이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19억 3,865만 달러(약 2조 6,000억 원)로,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56위를 기록하고 있다. 24시간 기준 거래량은 약 4,030만 달러(약 540억 원)로, 전일 대비 46.4% 증가했지만, 시가총액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라 유동성 우려는 여전히 유효하다.
V23 업그레이드, 파이네트워크의 게임 체인저 될까
파이네트워크는 현재 '프로토콜 V23' 업그레이드를 준비 중이며, 해당 업그레이드는 2025년 4분기 말 또는 2026년 1분기 초 메인넷에서 정식 론칭될 예정이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네트워크 확장성과 트랜잭션 속도를 크게 개선하고, 디파이(DeFi) 확장을 위해 탈중앙화 거래소(DEX) 기능과 유동성 풀 도입을 포함하고 있다.
V23 업데이트는 스마트 계약, DEX 운영 기능, 유동성 풀을 통해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는 핵심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여기에 더해 AI 기반의 사용자 인증(KYC) 시스템 및 Fast Track 인증 프로세스를 도입해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 신뢰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파이네트워크 생태계 확장을 위한 로드맵
파이네트워크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메인넷의 성공적인 출범이 핵심 관건이다. 2025년 말 또는 2026년 초로 계획된 메인넷 론칭은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기술적 안정성을 본격적으로 검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유동성 부문에 대한 해소책이 병행되어야 실사용 기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지난 파이 해커톤 2025는 173개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을 유치하며 활기를 띠고 있다. 총상금 16만 파이의 규모로 진행된 이번 해커톤은 개발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기술 도입 및 실사용 사례 창출을 촉진했다. 이는 파이코인의 생태계 확장과 시장 채택에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다.
투자자 고려사항
파이코인은 현재 낮은 유동성과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에게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는 자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향후 메인넷 업그레이드와 생태계 혁신이 실질적인 시장 개선으로 이어질 경우, 잠재적인 반등 여지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투자자들은 기술적 진행 상황과 시장 반응을 면밀히 지속 관찰할 필요가 있다.
파이네트워크가 분산화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며 실제 사용 사례를 늘려갈 수 있을지가 향후 가격 반등의 핵심 동력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