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BTC) 하루 만에 13.7% 폭락…6조 9,500억 원 청산 사태

프로필
민태윤 기자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3

비트코인($BTC)이 하루 만에 13.7% 급락하며 6조 9,500억 원 규모의 강제 청산이 발생했다. 과도한 레버리지와 유동성 부족이 시장 리스크를 키웠다는 분석이다.

 비트코인($BTC) 하루 만에 13.7% 폭락…6조 9,500억 원 청산 사태 / TokenPost.ai

비트코인($BTC) 하루 만에 13.7% 폭락…6조 9,500억 원 청산 사태 / TokenPost.ai

지난 금요일, 비트코인(BTC)이 하루 만에 13.7% 급락하며 다시 한 번 암호화폐 시장의 극심한 변동성을 증명했다. 최근 현물 비트코인 ETF 거래가 시작되며 제도권 유입으로 안정성이 기대됐지만, 이번 급락은 과도한 레버리지와 낮은 유동성이 여전한 리스크 요인임을 드러냈다. 시장에서는 총 50억 달러(약 6조 9,500억 원)에 달하는 강제 청산이 발생하며 광범위한 손실을 동반했다.

특히 포트폴리오 마진 시스템 전반에서 한계가 드러나며 유동성이 낮은 담보 자산에 의존했던 사용자들의 청산이 잇따랐다. 미결제 약정 규모 역시 급감했는데, 비트코인 기준으로 전체 계약의 13%가 한순간에 사라졌다. 시장에서는 이런 급락이 드문 일은 아니라고 보고 있지만, 대규모 시스템 리스크가 단시간에 현실화된 셈이다.

파생상품 지표에서도 업계 전반의 보수적인 태도가 읽힌다. 대형 마켓 메이커들은 여전히 신중한 접근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현 시점에서 유동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여기에 일부 거래소의 건전성에 대한 루머와 함께, 미국의 '현충일(Memorial Day)' 연휴로 월요일 일부 시장이 휴장하는 점도 유동성을 더욱 위축시킨 요인이다.

분석가들은 현물 ETF 시대에도 고질적인 구조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으며, 레버리지 과잉과 유동성 부족은 여전히 충격 증폭 장치로 작동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처럼 거래량이 얕은 상태에서 단시간에 대규모 포지션 청산이 발생할 경우, 시장은 순식간에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이번 조정은 비트코인 시장이 더 성숙해지기 위해 어떤 내부 체질 개선이 필요한지를 다시 한번 환기시켰다는 평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바다거북이

11:12

등급

위당당

10:47

등급

릴라당

08:30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바다거북이

2025.10.12 11:12:5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위당당

2025.10.12 10:47:0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10.12 08:30:3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