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리비타 바이 버추얼스(TIBBIR)
현재가 0.421달러 | ATH 0.436달러 (–3.56%)
②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크립토(USCR)
현재가 0.0693달러 | ATH 0.0744달러 (–6.82%)
전체 2개 종목이 신고점을 경신했다. 리비타 바이 버추얼스와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크립토 모두 단기 상승세를 이어가며 기술적 강세 구간에 진입했다. 특히 리비타는 최근 거래량 확대와 함께 저항 구간을 돌파했고, USCR 역시 유동성 개선과 함께 신규 매수세가 유입되며 고점 갱신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게임즈 포 어 리빙(GFAL)
현재가 0.00272달러 | ATL 0.00273달러 (–0.02%)
② 커먼(COMMON)
현재가 0.0180달러 | ATL 0.0178달러 (+1.44%)
③ 메테오라(MET)
현재가 0.451달러 | ATL 0.430달러 (+4.90%)
④ 0G 랩스(0G)
현재가 1.60달러 | ATL 1.59달러 (+0.53%)
⑤ 터틀(TURTLE)
현재가 0.158달러 | ATL 0.157달러 (+0.62%)
이 외에도 ▲크립토 트레이딩 펀드(CTF) ▲제로베이스(ZBT) ▲오로치 네트워크(ON) ▲페퍼(PEPPER) ▲이더렉스(REX) ▲이더렉스리퀴드스테이킹토큰(REX33) ▲매직·인터넷·머니(MIM) ▲엑스게임(XGAME) ▲애니스펜드(ANY)까지 14개 종목이 신저점을 경신했다. 전반적으로 연중 최저가 부근에서 제한적 반등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거래량이 낮은 프로젝트 위주로 미세한 기술적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으며 일부 신규 상장 토큰은 단기 급락 후 가격 방어 구간을 형성하는 모습이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14448달러 | ATH 126038달러 (–9.20%)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4138달러 | ATH 4948달러 (–16.4%)
③ 바이낸스코인(BNB)
현재가 1147달러 | ATH 1369달러 (–16.3%)
④ 리플(XRP)
현재가 2.64달러 | ATH 3.84달러 (–31.2%)
⑤ 솔라나(SOL)
현재가 201.57달러 | ATH 293.65달러 (–31.4%)
주요 상위 5개 암호화폐는 최근 조정 국면 속에서도 고점 대비 낙폭이 제한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12만 달러대 돌파 이후 소폭 조정을 받으며 기술적 숨고르기에 들어갔고, 이더리움과 BNB는 15% 내외의 안정적 조정 폭을 유지 중이다. 반면 리플과 솔라나는 30% 이상 하락하며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됐다. 전반적으로 대형 자산군 내 차별화된 조정세가 진행되며 단기 매물 소화 국면에 진입한 모습이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스토리 프로토콜(IP) 현재가 5.26달러 | ATH 14.74달러 (–64.3%) | ATL 1.38달러 (+280.3%)
② 넥스페이스(NXPC) 현재가 0.374달러 | ATH 3.70달러 (–89.9%) | ATL 0.271달러 (+38.1%)
③ 매직 에덴(ME) 현재가 0.494달러 | ATH 18.59달러 (–97.3%) | ATL 0.262달러 (+88.8%)
④ 마이로(MYRO) 현재가 0.0194달러 | ATH 0.444달러 (–95.6%) | ATL 0.00739달러 (+162.6%)
⑤ 스냅엑스(XNAP) 현재가 0.0458달러 | ATH 0.0559달러 (–18.1%) | ATL 0.0388달러 (+18.0%)
최근 국내 트렌딩 상위 5개 종목은 전반적으로 고점 대비 큰 폭의 조정을 거친 뒤 저점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스토리 프로토콜과 매직 에덴처럼 IP·NFT·크리에이터 생태계 기반 프로젝트가 중심에 있으며, 마이로와 스냅엑스 등은 커뮤니티 주도형 토큰으로 거래 활발도가 높다. 전반적으로 ‘저평가 반등’ 기대감이 유입되며 단기 매수세가 확대되는 흐름이 뚜렷하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