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바이낸스 창업자 장펑 자오, 이름 딴 밈코인 투자 경고…“사지 말라”

프로필
류하진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바이낸스 CEO 장펑 자오가 자신을 패러디한 밈코인이 투자 유도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며 강하게 경고했다. 실체 없는 프로젝트에 속지 말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바이낸스 창업자 장펑 자오, 이름 딴 밈코인 투자 경고…“사지 말라” / TokenPost.ai

바이낸스 창업자 장펑 자오, 이름 딴 밈코인 투자 경고…“사지 말라” / TokenPost.ai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창업자인 장펑 자오(Changpeng Zhao, 일명 CZ)가 자신의 이름을 앞세운 '밈코인' 구매를 자제하라고 경고했다. 블록체인 기술적 실체 없이 유명인 인지도를 악용한 투자는 재정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 팬 계정이 자오를 기념해 황금 동상을 제작하고, 이를 자오에게 선물하겠다는 게시물을 사진과 함께 SNS에 올렸다. 이후 해당 동상을 모티프로 한 밈코인이 만들어지면서 투자자들 사이에 관심이 쏠렸다. 그러나 자오는 밈코인 출시 목적이 수익만을 노린 것이라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자오는 X(옛 트위터)를 통해 “이 동상 제작은 고마운 제스처지만, 이와 관련해 밈코인이 등장했다는 사실은 제작자의 의도가 단지 나와의 상호작용으로 한몫 챙기려는 것이었음을 의미한다”며 “이런 행위는 전혀 달갑지 않다. 이 밈코인을 사지 말라”고 경고했다.

밈코인은 코인 자체의 기술적 기반보다는 유명인 패러디나 유행 요소로 주목을 받지만, 단기 투기 수단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앞서 테슬라($TSLA) CEO 일론 머스크를 패러디한 도지코인(DOGE) 등 대표적인 밈코인은 일시적 가격 급등을 경험했으나 기술 기반이 취약한 프로젝트들도 시장에 다수 존재한다.

코멘트: 이번 사례는 유명인의 팬덤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밈코인 생태계의 문제를 다시금 부각시킨다. 장펑 자오처럼 직접 나서 경고하는 사례는 드물지만,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실체 없는 프로젝트와의 거리 두기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0:31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