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수개월래 최저가로 하락한 배경에는 ETF 자금 역류와 디지털 자산 재무구조(DAT)의 반전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뉴욕디지털인베스트먼트그룹(NYDIG)은 이러한 흐름이 단순한 투자심리 저하가 아닌 ‘실제 자본 이탈’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NYDIG의 리서치 총괄 그렉 치폴라로는 최근 보고서에서 비트코인의 지난 상승장을 이끈 핵심 동력으로 현물 ETF 자금유입과 디지털 자산 재무 수요를 꼽았다. 그러나 10월 초 발생한 대규모 청산 이벤트를 기점으로 ETF 유입은 역전됐고, 트레저리 프리미엄(디지털 자산 기업 금고의 비트코인 보유분 시가 차익)은 급락했으며, 스테이블코인 공급량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자금 유동성이 시장에서 빠져나가고 있다는 ‘전형적 신호’라는 것이다.
치폴라로는 “한번 이런 매커니즘이 깨지면 시장은 일정한 패턴을 따른다”며 “유동성은 감소하고 레버리지는 회복을 시도하지만 동력을 얻지 못하며, 이전에 작동했던 하방 지지 내러티브들도 더 이상 유입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매주 반복되는 사이클 속에서 이야기는 달라지지만 메커니즘은 같다”며 “상승장을 이끄는 반사적 루프가 멈추면 그 자체로 다음 국면의 시작점이 만들어진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이번 주기에서 현물 ETF가 비트코인의 최대 성공 사례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상품이 이제는 ‘신뢰할 수 있는 자금 유입원’에서 ‘의미 있는 역풍’으로 전환됐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유동성 긴축, 매크로 불확실성, 마켓 스트럭처 스트레스, 투자자 심리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이 같은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흥미로운 점은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은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는 부분이다. 치폴라로는 “시장에서 위험자산들이 더 공격적으로 매도되면서 자금은 가장 검증되고 유동성이 높은 자산인 비트코인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흐름은 과거 사이클에서도 반복됐고,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의 단기 약세는 자금의 유턴과 매크로 요소 결합에서 비롯된 구조적 흐름으로 풀이된다. 기술적 반등이나 단일 호재 뉴스보다는 전반적인 흐름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ETF와 DAT를 둘러싼 자금 흐름이 비트코인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현재는 상승 추진력이 꺾인 상태다. 자금 이탈은 단기의 일시적 조정보다는 구조적 하락 국면의 초기 신호일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단기 반등보다 중장기 사이클 전환의 단서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ETF 흐름과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추이는 시장 회복 신호로 유용할 수 있다.
📘 용어정리
-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DAT): 기관 또는 기업이 보유한 비트코인 등 디지털 자산을 재무 구조의 일부로 삼는 전략
- 현물 ETF(Spot ETF): 실제 비트코인을 기초자산으로 보유하는 상장지수펀드
- 반사적 루프(Reflexive Loop): 자산 가격 상승이 자금 유입을 자극하고, 유입이 다시 상승을 만드는 순환 구조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