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의 온체인 지표 중 하나인 '지갑 간 결제량(account-to-account payment volume)'이 최근 한 달 새 약 50% 급감했다. 이는 네트워크 상 실제 가치 이전 활동이 크게 줄었음을 뜻하며, XRP의 펀더멘털 약세 신호로 해석된다.
U.Today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이후 XRP의 결제량은 정점에서 하단으로 빠르게 내려왔고, 11월 중순 반짝 상승세 이후 다시 급격히 식었다. 결제 수요가 늘고 있다면 최소한 현재 수준에서는 거래량이 유지돼야 하나, 오히려 꾸준한 감소세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결제량뿐 아니라 전체 거래 건수도 눈에 띄게 줄었다. 11월 24일 기준 일일 거래량은 약 68만 6,000건으로, 불과 몇 주 전만 하더라도 평균 120만~150만 건 수준이었다. 9~10월 데이터에서도 XRP 네트워크의 거래량은 지속적이고 뚜렷한 회복 없이 출렁이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단기적인 조정이 아닌, 네트워크 전반의 활동 감소로 볼 여지가 크다. 실제로 XRP는 장기 이동 평균선들 아래에서 거래되는 중이며, 차트 상에서도 하락 흐름 안에 갇혀있다. 상대강도지수(RSI)는 '과매도' 바로 위 지점에 있지만, 기술 반등(dip-buying)을 유도할 만큼 매수 심리가 강하진 않다는 평가다.
이러한 온체인 붕괴에도 불구하고 XRP 가격은 아직 그에 상응하는 하락을 반영하지 않은 상태다. 이는 시장이 지금의 결제량 급감이 일시적 노이즈로 판단하고 있거나, 아직 리스크 요인을 완전히 가격에 반영하지 않았다는 두 가능성으로 나뉜다. 후자의 경우, 향후 가격 하락 가능성이 열려있는 셈이다.
궁극적으로 XRP가 다시 강세 흐름을 타기 위해선 기술적 반등 수준의 거래량 증가가 아닌, 실질 결제 수요와 거래 활성화가 동반된 펀더멘털 회복이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XRP의 거래량과 결제 건수 동반 하락은 실제 네트워크 수요 감소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펀더멘털 약세 신호로 작용한다.
💡 전략 포인트
단순 기술적 반등보다는 거래량 회복과 사용자 증가 등 네트워크 사용성 강화를 동반한 상승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
📘 용어정리
- 계정 간 결제(account-to-account payment): 블록체인 지갑 간 실제 자산 이동을 의미하는 지표로, 네트워크 사용의 핵심 지표 중 하나
- RSI(Relative Strength Index): 가격의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진단하는 기술적 분석 지표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