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혹한 11월장을 거치며 대부분의 알트코인들이 약세장에서 기록했던 저점까지 되돌아가는 등 시장 전반에 침체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그러나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이러한 조정이 새로운 ‘알트 시즌’의 전조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암호화폐 투자 데이터 지표인 ‘TOTAL3’(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제외한 시가총액)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애널리스트들은 자금 흐름이 안정적인 자산으로 이동한 후, 다시 알트코인으로 순환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계정 ‘Stockmoney Lizards’는 “비트코인이 하락 → 자금이 스테이블코인으로 → 대기 상태 → 이후 알트코인으로 순환”이라는 시나리오를 강조하며 지금은 ‘기다림의 국면’이라고 전했다. 이어 “‘알트 시즌’이란 용어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지금이 바로 시작점”이라고 평가했다.
암호화폐 투자사 MN펀드의 창립자인 미카엘 반 더 포페(Michaël van de Poppe)도 이와 유사한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지금은 알트코인의 약세장이 끝나는 시점이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 상승세가 종료된 것은 아니다”라며, 전통적인 4년 주기보다는 훨씬 복잡하고 긴 구조의 새로운 시장 흐름이 전개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번 사이클이 ‘일생 단 한 번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투자자들에게 주목을 촉구했다.
다른 분석가 ‘Sykodelic’ 역시 TOTAL3 차트를 통해 “현재 구간은 지난 알트코인 대폭발장 직전의 패턴과 판박이로 유사하다”며, 사이클이 끝난 것이 아니라 확장 국면 직전에 놓여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단기적으로는 알트코인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11월 한 달 동안 주요 알트코인들이 50% 이상 폭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일부 코인들이 반등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비트코인(BTC)이 9만 1,000달러(약 1억 3,324만 원)를 재돌파하고, 이더리움(ETH)이 3,000달러(약 439만 원)를 상회하면서 시장 심리가 일정 부분 회복됐다. 이날 상승률을 보면 바이낸스코인(BNB)은 3.6%,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는 5.9%, 아발란체(AVAX)는 5% 상승세를 보였다.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현재 3조 2,000억 달러(약 4,686조 원)로 다시 반등하고 있지만, 10월 고점인 4조 4,000억 달러(약 6,444조 원)에 도달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한편 분석가 알렉스 와시(Alex Wacy)는 “매주 또 다른 지표가 알트코인 대세 상승을 예고하고 있다”며, 비트코인 대비 알트코인 시가총액 비율 차트를 공유했다. 그는 “이 속도라면 2026년에야 진정한 알트 시즌이 터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시장은 대폭락 이후의 불신과 대기 분위기 속에 있지만, 과거 사례에 비추어볼 때 자금이 스테이블코인에서 재차 고위험 자산으로 유입될 경우 알트코인 중심의 반등장이 펼쳐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알트코인은 최근 급락 이후 약세장 저점까지 되돌아갔지만, 자금 순환 흐름상 회복 국면의 초입일 수 있다는 분석이 부상하고 있다.
💡 전략 포인트
스테이블코인 유입량, TOTAL3 차트, BTC 대 알트 시총 비율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며 회복 방향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TOTAL3: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제외한 지표. 알트 시장의 순수 자금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알트 시즌(Altseason): 비트코인 대비 알트코인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거두는 강세장 구간.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