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옵션 만기일이 도래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1월 28일 금요일, 약 14만 7,000건의 비트코인 옵션 계약이 만료되며, 이들의 명목 가치는 약 134억 달러(약 19조 7,302억 원)에 달한다. 이번 옵션 만기 이벤트는 월말이라는 특성상 규모가 더욱 크고, 현물 시장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 정보 플랫폼 코인글라스(Coinglass)에 따르면, 이번 BTC 옵션의 ‘풋/콜 비율’은 0.58로, 상승에 베팅한 콜 옵션이 압도적으로 많다. 만기 시점에서 투자자 손실이 가장 큰 ‘맥스 페인’ 가격은 10만 달러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물 가격 대비 높은 수치다. 데리빗(Deribit)에서는 10만 달러 행사가에 22억 달러(약 3조 2,392억 원)의 미결제약정(OI)이 집중되어 있으며, 숏 포지션 투자자들이 노리는 8만~8만 5,000달러 구간에도 각각 약 20억 달러(약 2조 9,448억 원)에 이르는 포지션이 몰려 있다.
BTC 옵션을 포함한 암호화폐 옵션 전체 미결제약정은 약 570억 달러(약 83조 9,268억 원)이며, ETH 옵션만 따로 보면 총 약 1만 8,700건, 17억 달러(약 2조 5,030억 원) 규모의 계약이 이날 함께 종료된다. 두 자산을 합하면 하루 만기 규모는 150억 달러(약 22조 800억 원)에 이르며, 최근의 ‘롱 스퀴즈’와 과잉 레버리지 청산 이후 시장 포지셔닝이 중립적인 구간에서 안정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시장 데이터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최근 트윗에서 “이번 옵션 만기와 동반된 미결제약정 급감은 약세장의 시작이 아니라 레버리지 과잉 청산을 반영한 것”이라며 “변동성이 진정되면서 투자자 심리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물 시장은 현재까지 이번 옵션 만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모습이다. 비트코인은 최근 24시간 동안 세 차례 9만 1,800달러(약 1억 3,503만 원) 돌파를 시도했으나 저항에 부딪혀 현재 9만 달러(약 1억 3,251만 원)선 아래에서 거래 중이다. 이더리움(ETH)도 3,000달러(약 441만 원) 돌파에 실패하고 반락한 상태다.
미국의 예상보다 높은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가 시장 전반에 부담을 주는 가운데, 옵션 만기로 인해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다만, 데리빗은 “최근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주요 지지·저항 구간을 중심으로 포지션이 안정돼 가고 있다”며 시장 안정화 조짐을 전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대규모 옵션 만기가 시장에 단기 압력을 가할 수 있으나, 장기적인 약세 전환 징후는 뚜렷하지 않다.
💡 전략 포인트
맥스 페인 가격인 10만 달러 부근의 미결제약정 흐름에 주목하면서 스팟 가격과 괴리 여부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풋/콜 비율(Put/Call Ratio): 상승과 하락에 대한 투자자들의 심리를 나타내는 수치로, 1보다 작으면 상승에 베팅한 비율이 더 높다.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아직 청산되지 않은 옵션·선물 계약 수량 또는 가치.
롱 스퀴즈(Long Squeeze): 상승에 베팅한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며 시장이 하락하는 현상.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