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 기반 ETF(상장지수펀드)가 출시 이후 처음으로 하루 순유출을 기록했다. 견조한 시장 흐름 속에서 벌어진 이 현상은 기관투자자들이 솔라나 상품에 대해 처음으로 조정을 가한 징후로 해석된다.
미국 내 다섯 개 솔라나 ETF 상품에서 11월 26일 하루 동안 순유출 규모는 총 820만 달러(약 120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파사이드 인베스터(Farside Investors)가 집계한 첫 마이너스 흐름으로, 전체적으로 강세장을 이어가는 암호화폐 시장 분위기와는 대조적이다.
솔라나 ETF는 출시 후 꾸준한 자금 유입을 이어 왔다. 대표적으로 비트와이즈(Bitwise)의 BSOL은 출시 이후 지금까지 총 5억 2,790만 달러(약 7,726억 원) 가량 유입되며 시장을 선도해 왔다. 이는 전체 솔라나 ETF 누적 유입액 6억 1300만 달러(약 8,966억 원)의 86% 이상을 차지하는 수치다.
이날 주요 유출 원인은 21셰어스(21Shares)의 TSOL ETF였다. TSOL에서만 3,440만 달러(약 503억 원) 가량이 빠져나가며 다른 ETF들의 유입 규모를 상쇄했다. 반면,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GSOL과, 반에크(VanEck)의 VSOL, 피델리티(Fidelity)의 FSOL 등은 소폭이나마 순유입을 유지했다.
이는 특정 ETF에 대한 불균형적 변화일 수 있지만, 최근 솔라나 생태계를 둘러싼 해킹 사고와 변동성 요인들이 기관 자금 흐름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국의 대형 거래소 업비트에서는 최근 솔라나 네트워크 해킹으로 약 3,700만 달러(약 541억 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솔라나 ETF의 첫 순유출은 단일 이벤트로 끝날 가능성도 있지만, 향후 유출이 반복될 경우 시장 심리에 보다 근본적인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경계심도 커지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솔라나 ETF의 첫 유출은 단기적 이벤트로 볼 수 있으나, 하방 압력이 누적될 경우 기관 관심도 조정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유출을 기록한 TSOL의 성과가 향후 다른 상품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 전략 포인트
ETF 수급 추이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관의 온도계를 보여준다. 이번 유출은 솔라나가 당분간 주춤할 수 있다는 신호로, 자산 배분 시 유동성과 리스크 요인을 더욱 엄격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ETF(상장지수펀드): 특정 자산의 가격을 추종하는 투자상품.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는 기관 참여의 주요 관문으로 작용함
- 순유출(Outflow): 투자 자금이 상품에서 빠져나간 총합. 유출 규모가 커질수록 매도 우위 신호로 해석됨
- 솔라나(SOL):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로 주목받는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