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이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경제성장 전략을 본격 논의하면서, 향후 국가 경제운용 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25년 8월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참여한 당정 협의가 열렸다. 이번 자리는 새 정부의 경제 기조를 구체화하고, 하반기 국정 운영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로 마련됐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으며, 공식적인 경제 정책 조율의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협의는 경기 회복과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최근 세계 경제는 미국과 중국의 경기 둔화, 글로벌 금리 고점 우려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한국 경제도 수출 둔화와 내수 한계 등 이중의 부담을 안고 있어, 새 정부는 이러한 복합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당정은 특히 민간 활력 제고와 규제 개혁을 통해 경제 전반의 역동성을 되찾겠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정부는 산업 구조 전환, 디지털 경쟁력 강화, 에너지 전환 등 중장기 과제를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번 회의에서도 관련 방안들이 집중 논의됐다. 초격차 유지가 중요한 반도체 산업과 인공지능 분야 육성도 주요 의제로 올랐다.
정치권과 정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해 향후 예산안과 법 개정 과정까지도 긴밀히 조율하겠다는 신호로 읽힌다. 이처럼 협의체 중심으로 정책 기획과 실행을 병행하는 접근법은 과거 경제위기를 돌파했던 사례들을 떠올리게 한다. 민관 협력을 토대로 경제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자 하는 전략적 의도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주요 경제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는 동시에, 정치적 합의를 통해 경제운영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하반기 국회 예산 심의와 맞물려 추가 정책 패키지가 이어질지 여부가 향후 한국 경제 흐름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