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국제금융 브리핑 – 연준 발언 엇갈리며 금리인하 전망 혼조…AI 투자 과열·日 경기부양 기대 부상

프로필
토큰포스트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글로벌 금융시장은 연준 내부의 엇갈린 금리 메시지와 AI 투자 과열 우려, 일본·유럽의 경기 둔화 신호가 겹치며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달러 강세와 VIX 급등 속에 각국 정책 불확실성이 심화되며 12월 금리 인하 전망도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금융 브리핑 – 연준 발언 엇갈리며 금리인하 전망 혼조…AI 투자 과열·日 경기부양 기대 부상

미국 연준 내부에서 금리 방향을 둘러싼 메시지가 엇갈리고, 유럽·일본·중국에서 정책 불확실성과 성장 둔화 징후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12월 금리인하 전망을 두고 혼조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AI 투자 과열에 대한 경고, 일본 GDP 역성장, 유럽 금융리스크 우려 등 복합 요인이 시장 변동성을 자극하고 있다.

■ 미국: 연준 내부 ‘신중론 vs 인하론’ 충돌…AI 거품 우려 속 시장 약세

연준 제퍼슨 부의장은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이 둔화되고 고용의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정책 결정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금리가 중립 수준에 접근해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점도 시사했다.

반면 월러 이사는 고용 부진과 중·저소득층 부담을 이유로 12월 금리인하를 공개 주장하며 내부 이견을 드러냈다. 그는 “다가오는 9월 고용보고서가 판단을 바꿀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해 강한 인하 의지를 드러냈다.

WSJ는 빅테크의 공격적 AI 투자 확대가 재무 안정성 악화·부채 증가·기술 도태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며 거품 리스크를 경고했다. 블룸버그 역시 AI가 실질금리 상승을 자극해 성장 기여가 제한적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S&P500: –0.92% 하락
10년물 국채금리: 4.14% (–1bp)
달러지수 강세: +0.24%

■ 캐나다·유럽: 물가 둔화·성장률 상향에도 금융리스크 경고 지속

캐나다 10월 CPI는 전년비 2.2%로 상승세가 둔화됐으며, 휘발유·식품 가격 하락이 반영됐다.

EU 집행위원회는 2025년 성장률 전망을 0.9% → 1.3%로 상향하며 남·동유럽의 회복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ECB 귄도스 부총재는 고평가된 자산가격·관세 리스크 노출 기업·소버린 리스크를 주요 위험 요인으로 경고했다.

■ 일본: 3분기 GDP 역성장…대규모 경기부양책 기대 커져

일본 3분기 GDP는 전기비 –0.4%로 6분기 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 민간 주택투자·수출 감소가 주요 원인이며, 시장은 이를 계기로 정부의 17조 엔 규모 경기부양책 추진 가능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골드만삭스는 재정 확대가 국채 가격 하락·엔화 약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 중국: 건설지출 증가·내수 둔화 혼재…대외 불확실성 확대

8월 미국 건설지출이 예상치를 상회한 가운데, 중국·아시아 전반에서는 대외 불확실성 확대와 함께 내수 회복세 둔화가 지적됐다. PDF 내 중국 관련 직접 지표는 적지만, 글로벌 수요 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재차 부각되는 흐름이다.

■ 글로벌 금융시장: 달러 강세·국채금리 하락…VIX 급등

11월 17일 기준 글로벌 금융시장은 혼조 흐름을 나타냈다. 안전자산 선호와 AI 거품 우려, 고용지표 경계감이 동반되며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S&P500 –0.92%
유럽 Stoxx600 –0.54%
상해종합 –0.46%
KOSPI +1.94%
달러지수 99.53 (+0.24%)
엔화 약세: 155.26엔/달러
VIX 22.38 (+12.86%)
WTI 59.91달러 (–0.30%)

■ 해외 주요 시각 요약

● AI 투자 과열 리스크 – WSJ

빅테크 AI 지출 2028년까지 3조 달러 전망
수익은 지출 절반 수준에 그칠 가능성
사모대출·회사채 조달 확대가 재무건전성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음

● AI의 경제효과 제한 가능성 – 블룸버그

성장 기여까지 시간 지연
노동시장 보완/대체 효과 불확실
인프라 투자 부담이 실질금리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

● 미국 ‘카지노 경제’ 위험 – 블룸버그

밈주식·디지털자산·스포츠 베팅 열풍
투기적 투자 확산
다만 가계자산 증가로 충격 흡수력은 견조

■ 종합 평가

미국은 연준 발언의 혼재와 AI 투자 열풍 속에서 금리 인하 전망이 크게 흔들리고 있으며, 유럽은 성장률 상향에도 금융리스크가 여전하다. 일본은 경기 역성장으로 대규모 부양책 기대를 키우는 중이고, 글로벌 금융시장은 달러 강세와 변동성 확대로 방향성 탐색 국면에 진입한 모습이다. 향후 시장은 9월 고용보고서·Nvidia 실적·유럽 재정 리스크·일본 부양책 규모에 따라 단기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