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공매도 잔고 다시 10조 돌파… 투자자들 '하락 베팅' 늘었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공매도 순보유 잔고가 다시 10조 원을 넘으며 국내 증시 하락 압력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리스크와 국내 정책 불확실성이 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 중이다.

 공매도 잔고 다시 10조 돌파… 투자자들 '하락 베팅' 늘었다 / 연합뉴스

공매도 잔고 다시 10조 돌파… 투자자들 '하락 베팅' 늘었다 / 연합뉴스

공매도 잔고금액이 다시 10조 원을 넘어서며, 국내 증시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글로벌 무역 환경 악화와 국내 세제 개편에 대한 우려가 겹치면서 투자자들의 하락 전망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공매도 순보유 잔고는 지난 5일 기준 10조7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들어 지난 7월 31일에 기록한 10조440억 원 이후 두 번째로 큰 수치다. 공매도는 주식 가격 하락을 예측한 투자방식으로, 주식을 빌려 먼저 팔고 나중에 가격이 떨어졌을 때 다시 사들이는 기법이다. 따라서 공매도 잔고가 늘어난다는 것은 상당수 투자자가 주식시장의 하락을 예상하고 있다는 의미다.

증권가에서는 특히 시장 상승 탄력이 둔화됐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상승 여력이 약화될수록 거래대금도 줄어들게 마련인데, 그에 따라 공매도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는 주가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다. 메리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시장의 유동성이 약해져가는 상황에서 공매도 비중 증가가 개별 종목에 강한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전체 시장 지표만 놓고 보면 아직 위험수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공매도 잔고의 전체 시가총액 대비 비율은 0.37% 수준으로, 과거와 비교해 낮은 편이다. 예를 들어 2018년 3월, 미중 무역전쟁 이슈로 글로벌 증시가 동반 하락했던 당시에는 유가증권시장의 공매도 잔고 비율이 0.83%로 지금의 두 배 이상이었던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권가에서는 특정 종목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로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8월 5일 기준 공매도 비중이 높은 종목으로는 한미반도체(6.05%), SKC(5.32%), 호텔신라(4.77%), 신성이엔지(4.18%), 두산퓨얼셀(3.52%) 등이 있다. 이들 종목은 공매도 잔고가 높아 주가 변동성이 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같은 흐름은 글로벌 정치 리스크와 국내 정책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시장 유동성 축소와 금리 불확실성까지 겹칠 경우, 공매도를 이용한 투자 전략이 더욱 활발해지고, 이는 전체 증시의 불안정을 가중시킬 수 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투자자들이 종목별 리스크 관리에 더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