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인구구조 변화와 인공지능(AI) 대응을 주제로 주요국 민간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한국이 정책 중심에 둔 AI 전환과 고령화 대응 전략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내에서 공유하고, 역내 협력을 확장해 나가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외교부는 2025년 8월 11일부터 이틀 동안 인천 송도에서 ‘APEC 2025 민관대화’를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APEC 21개 회원국 정부 고위급 인사와 국제기구,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변화하는 인구 구조와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환영사에서 정부가 디지털 전환 중에서도 인공지능을 핵심 정책 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해 전략적 AI 전환과 관련 인프라 확충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오는 APEC 정상회의에서 한국이 주도하는 핵심 의제로, 회원국 간 정책 기반을 조성하고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한 논의도 주목을 받았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은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한국의 구조적 문제를 소개하며, APEC 회원국들이 인구 문제를 효과적으로 정책화할 수 있도록 한국이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돌봄 서비스 확대, 청년·여성 고용 활성화, 노인층 재사회진입 방안 등 다각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미국 인구참조국 대표 제니퍼 스쿠바는 노동력 확보 전략으로 인적교류 강화와 돌봄 시스템 확충을 제시했다. AI 세션에서는 구글의 가이 벤-이샤이 연구 총괄이 AI 기술이 노동시장과 생산성에 미칠 영향을 소개했고,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기술 활용을 통해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같은 국제 차원의 민관대화는 인구 문제와 디지털 전환이라는 복합적 대응 과제를 다자간 협력으로 풀어가려는 흐름을 반영한다. 향후 APEC 정상회의를 통해 관련 협의가 정책적 실행력으로 이어질 경우, 한국은 AI 전략과 저출산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역내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