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주요 시스템이 지난달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마비된 가운데, 전체 17개 시스템 중 5개가 우선 복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나머지 시스템도 늦어도 오는 11월 중순까지는 정상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사고는 지난 9월 26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주요 정부 부처의 전산망이 연쇄적으로 중단되는 심각한 피해로 이어졌다. 특히 노동부는 고용 통계, 민원 처리, 퇴직연금, 과태료 관리 등 행정 기능 전반에 차질을 빚으면서 국민 불편이 컸고, 정부는 이를 조기에 해소하기 위한 응급대응에 착수했다.
이번에 복구가 완료된 5개 시스템은 고용노동통계조사, 과태료 관리, 퇴직연금 실적관리, 전자도서 등록(배우리), 도서 관리 등으로, 전체의 약 30% 수준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2등급 시스템’으로 분류된 노동부 홈페이지와 국민 서비스 포털인 ‘노동포털’ 등 12개 시스템은 여전히 중단된 상태다.
고용노동부는 최소한의 행정 서비스 유지를 위해 임시 홈페이지(고용노동부 대표 누리집 www.moel.go.kr)를 열고, ‘노사마루’ 및 ‘노동포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임시 사이트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임금체불 신고 등 주요 민원 절차는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 지난 10월 들어 하루 평균 1,477건의 임금체불 신고가 접수돼 예년(하루 평균 1,608건)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권창준 고용노동부 차관은 17일 열린 비상대응본부 회의에서 “완전한 시스템 복구까지 시간이 걸리지만,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부처 차원의 전방위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관계 부처 및 정보기술(IT) 전문가들과 협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 운영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일 서버나 물리 시스템 의존도가 높을수록 유사 사고의 위험이 커지는 만큼, 향후 재해 복구 체계와 클라우드 이중화(서버·데이터 분산 저장) 등 안전망 구축에 대한 정책 논의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