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금융감독청(FCA)이 규제기술(RegTech) 기업 유니스(Eunice)를 샌드박스 프로그램 참여 기업으로 승인했다. 이는 영국 정부가 향후 암호화폐 규제 체계를 어떻게 마련해갈 것인지를 보여주는 가장 구체적인 신호라는 평가다.
FCA는 26일(현지시간) 유니스가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과 함께 암호화폐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화된 정보공개 템플릿’ 실험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실험에는 코인베이스, 크립토닷컴, 크라켄 등 주요 거래소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유니스는 실제 거래 환경에서 이 공개 템플릿이 투자자 보호와 시장 투명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게 된다.
이번 실험은 이론 중심의 규제 설계에서 벗어나 실증적이고 시장 친화적인 접근 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FCA는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규제 접근 방식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사한 솔루션을 테스트하려는 모든 기업들의 신청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FCA 혁신총괄 콜린 페인은 “규제 샌드박스는 암호화폐 시장 규제 설계의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영국은 이 같은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비한 규제 공백을 보완하고, 국제 기준을 고려한 법제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은 최근 암호화폐 산업을 제도권에 편입시키기 위한 규제 틀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번 샌드박스 실험은 그 청사진을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라는 평가다.
암호화폐 거래소와 협업해 실질적 해결책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EU의 ‘MiCA(암호화폐시장법)’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제재 중심 접근방식과는 확연히 대비된다. FCA는 유니스 외에도 다양한 기업들의 참여를 받고 있는 만큼, 향후 추가 실험이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영국은 ‘이론 중심’ 규제 대신 ‘현장 중심’ 실험을 통해 암호화폐 규제 체계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이 명확한 규제 기준을 필요로 하는 당면 과제를 감안할 때, FCA 테스트 결과는 국제적으로도 기준점이 될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 거래소 중심 실험: 투자자 보호 기준 강화 가능성
- 실증 기반 규제: 기업·투자자 모두에 명확한 가이드 제공
- 타국 대비 유연한 접근: 영국의 암호화폐 허브 전략 기반 마련
📘 용어정리
-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신기술 서비스나 제품을 실제 시장에서 일정 조건 하에 시험 운영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
- RegTech(규제기술): 금융 규제를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기술을 활용하는 분야
- 정보공개 템플릿(Disclosure Template): 투자자 보호를 위해 금융 상품의 주요 정보를 표준 양식으로 제공하는 틀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