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체인링크 창업자 “DeFi, 대중화 30% 진입… 미국 규제가 글로벌 기준 될 것”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체인링크 세르게이 나자로프는 DeFi 대중 채택이 시작됐다고 진단하며, 미국이 규제 제도화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체인링크 창업자 “DeFi, 대중화 30% 진입… 미국 규제가 글로벌 기준 될 것” / TokenPost.ai

체인링크 창업자 “DeFi, 대중화 30% 진입… 미국 규제가 글로벌 기준 될 것” / TokenPost.ai

체인링크(LINK) 공동 창업자인 세르게이 나자로프는 탈중앙금융(DeFi)의 대중 채택까지 시간은 남았지만, 그 진입은 이미 본격화됐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반드시 해결돼야 할 규제와 제도적 과제가 여전히 크다고 강조했다.

나자로프는 최근 유튜브 인터뷰에서 “현재 DeFi는 대중화의 약 30%까지 도달한 상태”라며 “명확한 규제와 제도가 마련되면 전 세계에서 50% 수준까지 채택률이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DeFi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간 금융 서비스로, 기존 금융기관의 중개 없이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다. 시장에서는 탈중앙화 영역이 기존 금융 인프라를 대체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나자로프는 이와 관련해 규제가 이 기술의 신뢰성과 효용성을 설명해주는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업계 인사들도 공통적으로 비슷한 우려를 제기해왔다.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 창립자인 미하일 예고로프는 지난 2월 “DeFi 채택의 가장 큰 걸림돌은 규제와 법적 불확실성”이라며 “KYC(고객확인) 및 AML(자금세탁방지) 의무 준수가 주요 이슈”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유동성 문제, 거래의 투명성, 기술적 보안 리스크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나자로프는 DeFi 산업의 제도화가 미국에서 시작될 가능성을 높게 봤다. 그는 “명확한 규제의 시작점은 미국이 될 것”이라며 “여러 국가들은 미국 금융 시스템과의 정합성을 위해 미국의 결정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움직임이 전 세계 DeFi 정책의 도미노를 촉발할 수 있다는 의미다.

DeFi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제도권 진입을 위해서는 규제 명확성과 기술 신뢰, 제도적 연계성이 반드시 확보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과 같은 주요국의 규제 방향은 글로벌 시장에 중대한 신호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DeFi 확산의 관건은 ‘명확한 규제’다. 미국이 제도화의 출발점이 되면, 글로벌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단기적 투자보다는 제도 변화와 정책 수립 흐름에 초점 맞추기. 미국과 유럽 규제 기관들의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DeFi(탈중앙금융):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서비스, 기존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는다.

- KYC/AML: 고객 확인 및 자금세탁방지 프로세스. 금융 규제상 필수 요건이다.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