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5,500억 원짜리 황금 항공기까지... 백악관은 '개인 선물 창고'?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임 중 외국 정상과 기업인들로부터 받은 고가 선물 다수가 미신고 상태로 드러나 논란이다. 약 5,550억 원 상당의 황금 항공기 선물도 포함돼 공직 윤리 위반 의혹이 제기됐다.

 트럼프, 5,500억 원짜리 황금 항공기까지... 백악관은 '개인 선물 창고'? / 연합뉴스

트럼프, 5,500억 원짜리 황금 항공기까지... 백악관은 '개인 선물 창고'?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내외 인사들로부터 받은 각종 고가 선물로 인해, 백악관이 사실상 그의 ‘개인 선물창고’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일부 선물은 외교 및 공직 윤리 규정을 위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세계 각국 정상과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들이 백악관을 방문할 때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눈에 띌 만한 선물을 건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 애플의 팀 쿡 CEO는 미국 제조 문구가 새겨진 유리 기념패를 전달했는데, 받침대는 순금으로 제작돼 트럼프 대통령의 취향을 반영한 선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주목되는 사례는 카타르 왕실로부터 받은 보잉 747-8 항공기로, 약 4억 달러(한화 약 5,550억 원)에 달하는 이 선물은 역대 미국 대통령이 외국에서 받은 모든 선물을 합친 금액보다 100배나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메달 세트, 종합격투기 챔피언 벨트 등 기념 성격이 짙은 고가 물품들을 다수 수령했다.

문제는 이러한 선물들이 미국 정부의 공직자 윤리 규정을 위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미국 법에 따르면, 공직자는 외국 정부로부터 480달러를 초과하는 선물을 받을 경우 반드시 이를 정부에 양도하거나 본인 소지 시 해당 금액을 납부해야 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첫 임기 시절에도 다수의 선물을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연방 하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가족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최소 117건의 선물을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는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받은 백호와 치타 모피 의류, 상아 손잡이 단검 등이 포함됐다. 모피는 이후 조사에서 인조임이 확인됐지만, 규정 위반 사실 자체는 명확했고, 신고되지 않은 선물들의 총 가치는 29만 달러(약 4억 원)를 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대해 백악관 측은 대통령에게 선물을 건네는 행위가 투자 유치나 공적 관계 강화를 위한 일상적 외교 관례라고 해명하고 있다. 백악관 공보실의 데이비스 잉글은 "많은 지도자들이 미국에 대한 신뢰와 협력을 상징하는 의미로 선물을 건넨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은 트럼프 대통령 본인의 재산 축적이라는 의혹과 함께, 미국 대통령의 공직 윤리 기준에 대한 논란을 지속적으로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미신고 고가 선물이 국제 관계와 공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 문제 제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