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프라임(Prime) 멤버십 가입 과정에서 소비자를 기만했다는 혐의로,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제기한 소송이 2025년 9월 22일(현지시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FTC는 아마존이 고객 동의 없이 멤버십을 유도하고, 해지 절차를 지나치게 복잡하게 만들어 소비자 보호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FTC는 2023년 6월 해당 소송을 처음 제기했다. 당시 FTC는 아마존이 무료 체험 제공 시 조건과 비용을 충분히 고지하지 않고, 고객이 자신도 모르게 유료 서비스에 가입되도록 설계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프라임 해지 과정은 고객이 체계적이고 고의적으로 방해를 받는 수준이었다며, 이는 ‘온라인 신뢰회복법’(Restore Online Shoppers’ Confidence Act) 및 FTC법 위반이라 판단했다.
논란의 중심에는 아마존의 회원제 프로그램 '프라임'이 있다. 이는 연간 139달러를 지불하면 무료 배송, 영상 스트리밍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유료 서비스로, 전 세계 수억 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FTC는 아마존이 프라임 이용약관을 공개하기 이전에 이미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등 소비자 권익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재판을 맡은 존 춘 판사 또한 사전 판결에서 아마존의 일부 행위가 소비자 보호법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번 소송에는 아마존 관련 고위 임원들도 피고인으로 포함됐다. 내부 문서에서는 가입 및 탈퇴 절차의 복잡성을 서사시 ‘일리아드’에 비유해 표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내부적으로도 탈퇴 절차가 단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아마존 측은 프라임 서비스 관련 모든 과정이 고객에게 투명하게 전달되었으며, 해지도 언제든 가능하도록 설계했다고 항변했다.
이번 재판은 약 한 달 동안 시애틀 연방 법원에서 배심원단에 의해 진행되며, 프라임 가입 과정의 투명성과 소비자 권리 침해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이 내려질 예정이다. FTC는 이와 별개로 2023년 9월에는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시장 독점 혐의와 관련한 반독점 소송을 추가로 제기한 바 있으며, 해당 재판은 2027년 개시될 예정이다.
이 같은 소송은 최근 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대형 정보기술(IT)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흐름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향후 재판 결과에 따라 전자상거래 업계 전체의 마케팅 및 가입·해지 패턴이 변화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기업의 투명한 정보 제공과 소비자의 선택권 보호에 대한 사회적 기준 역시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