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화재 뚫은 디지털 신분증…조폐공사, 분산형 복구체계로 신속 대응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국가 전산실 화재 이후 조폐공사가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빠르게 복구하며 분산형 시스템의 강점을 입증했다. 일부 발급 기능은 여전히 제한 중이다.

 화재 뚫은 디지털 신분증…조폐공사, 분산형 복구체계로 신속 대응 / 연합뉴스

화재 뚫은 디지털 신분증…조폐공사, 분산형 복구체계로 신속 대응 / 연합뉴스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 이후, 한국조폐공사는 재해복구 체계를 가동해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대부분 정상 운용 중이라고 28일 밝혔다. 핵심 기능은 유지되고 있으나, 일부 서비스에 한시적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모바일 신분증은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디지털 수단으로,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에 신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번 화재로 국가 주요 전산 인프라 일부가 마비되자, 조폐공사는 비상 대응 체계인 데이터센터 이전을 통해 27일 새벽 3시 10분께 서비스를 정상화했다. 이처럼 빠른 복구는 시스템이 분산형으로 설계돼 중앙 집중식 시스템보다 위험 분산과 회복이 용이했던 덕분이다.

현재 운영 중인 재해복구 체계 하에서는 모바일 신분증 신규 발급이나 재발급은 일시적으로 중단되며, 특히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의 금융거래용 제출 기능도 제한되고 있다. 이는 시스템의 핵심 기능을 우선 복구하고 부가기능은 순차적으로 정상화하겠다는 조처로 풀이된다.

다만, 삼성월렛, 카카오뱅크, 네이버, 토스, KB스타뱅킹, NH올원뱅크 등 민간 플랫폼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은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 없이 대부분의 금융 제출 기능이 유지되고 있다. 이 역시 분산 이용 환경 기반의 장점이 작용한 결과다.

조폐공사는 이번 재해 상황에서도 서비스를 빠르게 복구한 점을 강조하며, 앞으로도 행정안전부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 안정적 운영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모바일 신분증이 공공업무와 금융 서비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재해 상황에 대비한 기술적 대응 능력은 더욱 주목받을 전망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디지털 신분체계 전반의 구조 안정성과 재해 대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 인프라의 분산화와 민관 협업 체계가 더욱 주목될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사설] KBW 2025 총평 – 세계가 모인 서울, 법제화로 모멘텀을 지켜야 한다

[사설] KBW 2025 총평 – 세계가 모인 서울, 법제화로 모멘텀을 지켜야 한다

[KBW2025] 톰 리 비트마인 회장

[KBW2025] 톰 리 비트마인 회장 "이더리움, 슈퍼 사이클 진입한다...토큰화 시대 승자될 것"

[KBW2025] 국내 거래소

[KBW2025] 국내 거래소 "법인 참여가 韓 경쟁력 핵심…외국인·해외 법인 진입도 고려해야"

[KBW2025] 하태경 한국보험연수원 원장

[KBW2025] 하태경 한국보험연수원 원장 "원화 스테이블코인, 정부 의지에 따라 세계 TOP2 가능"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