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나우(ServiceNow, Inc.)가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 베자(Veza Inc.)를 인수하기 위한 협상에 막바지에 다다른 것으로 전해졌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거래는 10억 달러(약 1조 4,400억 원) 이상의 규모로 성사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르면 다음 주 발표가 있을 전망이다.
베자는 조직 내 계정과 접근 권한을 식별하고 보안 위험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 정체성 관리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장기간 사용되지 않은 계정을 찾아 삭제하거나, 과도한 권한이 부여된 계정을 탐지해 기업의 보안 취약점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특히 '업무 분리(separation of duties)' 정책을 따르지 않는 계정까지 식별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군에서 보안 강화 수요를 충족시켜 왔다.
이번 인수 협상이 주목받는 이유는, 서비스나우가 아직까지 사용자 계정과 머신 정체성 관리 영역에서는 제한된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베자 플랫폼은 응용 프로그램 간 자동 연동을 통해 생성되는 머신 ID도 관리 대상에 포함시키며, 기업 내 네트워크 전체에 걸친 머신 정체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베자는 지난 4월 투자 유치를 통해 기업가치를 크게 끌어올렸으며, 워크데이(Workday Inc.), 세일즈포스(Salesforce Inc.), 알파벳(GOOGL) 산하 GV 등 실리콘밸리 주요 투자사들의 지원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총 투자금의 약 네 배 수준에 달하는 금액으로 매각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베자의 솔루션 가치가 높게 평가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서비스나우는 최근 몇 년간 공격적인 인수 전략을 통해 AI·데이터·보안 역량을 강화해왔다. 지난 3월에는 업무 생산성 자동화를 위한 AI 플랫폼 기업 무브웍스(Moveworks Inc.)를 28억 5,000만 달러(약 4조 1,040억 원)에 인수했고, 그 뒤로도 데이터 정합성 및 보안을 중점에 둔 스타트업 데이터닷월드(data.world Inc.)를 사들이며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서비스나우의 베자 인수가 현실화되면, 정체성 및 접근 권한 관리 부문에서의 기능 강화는 물론, SaaS 기반 보안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을 전망이다. 이제 보안 시장의 다음 판도를 좌우할 키는, 서비스나우가 얼마나 빠르게 베자의 기술을 통합하고 시장에서 이를 차별화 요소로 삼느냐에 달려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