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세제 혜택 종료 앞두고 테슬라 인도량 급증...전망치 9% 상회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테슬라가 미국 전기차 세제 혜택 종료를 앞두고 3분기 인도량이 49만7,099대로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일시적 수요에 따른 실적 증가로 분석했으며 향후 수요 둔화 우려가 제기된다.

 세제 혜택 종료 앞두고 테슬라 인도량 급증...전망치 9% 상회 / 연합뉴스

세제 혜택 종료 앞두고 테슬라 인도량 급증...전망치 9% 상회 / 연합뉴스

미국 내 전기차 구매가 세제 혜택 종료를 앞두고 일시적으로 급증하면서, 테슬라의 2025년 3분기 인도량이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테슬라는 10월 2일(현지시간) 발표한 자료를 통해 지난 3분기(7~9월) 동안 총 49만7,099대의 차량을 인도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7% 증가한 수치이며,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45만6,000대를 크게 상회한다. 미국 정부가 지난달 말 전기차 구매 시 적용하던 최대 7,500달러 상당의 세액공제를 종료한 것이 소비자들의 '막차 수요'를 불러일으켰다는 분석이다.

사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월 2분기 실적 발표 당시 이미 전기차 세제 혜택 종료로 인해 향후 몇 분기 동안 실적이 위축될 수 있다고 예고한 바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중국산 전기차의 글로벌 시장 확대와 머스크 CEO의 정치적 노출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논란 등 악재가 겹치며 테슬라의 인도량이 다소 위축되기도 했다. 따라서 이번 인도량 증가는 구매 수요가 일시적으로 앞당겨진 결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같은 날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도 시장 예상을 웃도는 3분기 인도실적을 발표했지만, 연간 실적전망은 오히려 기존 추정치보다 낮은 수준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인센티브 종료 이후 수요 불확실성을 기업들도 체감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미국 내 전기차 시장은 단순한 가격만으로 승부할 수 없는 환경으로 접어들고 있어, 세제 혜택 종료 이후 수요 유지 여부가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이번 실적 호조가 과거 데이터를 반영한 것에 불과하며, 향후 환경규제 변화와 세제 감면의 공백이 매출과 수익성에 어떤 영향을 줄지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자동차 연비·배출 규제 완화는 테슬라의 배출권 거래 수익 구조에도 타격을 줄 수 있는 변수다. 이와 관련해 자동차 분석기업 콕스 오토모티브는 올해 4분기부터는 전기차 수요 자체가 둔화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에 따라 테슬라가 현재 개발 중인 새로운 보급형 모델이 향후 수요 회복의 열쇠가 될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가격대나 출시 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투자자들 역시 실적보다 미래 전망에 주목하면서, 테슬라 주가는 이날 나흘 연속 상승 랠리를 멈추고 5.11% 하락해 436달러로 장을 마쳤다.

이 같은 흐름은 전기차 시장이 앞으로 더욱 치열한 경쟁과 수요 감속 국면에 직면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각 업체의 대응 전략이 향후 실적과 시장 지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