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프라이빗 세일' 가상자산 사기 주의 촉구]
금융감독원은 3일 불법 유사투자자문업자가 특정 가상자산을 ‘프라이빗 세일’로 저가에 매수할 수 있다며 개별적으로 투자를 권유하는 사기가 발생하고 있다고 소비자의 주의를 촉구했다. 프라이빗 세일은 거래소 등을 통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가상자산을 매매하는 것을 가리킨다. 불법 유사투자자문업자는 프라이빗 세일을 통해 가상자산을 매수하도록 유인한 뒤 가격 안정 등을 위해 일정 기간 동안 가상자산 거래를 제한(락업)시켜야 한다고 하며 매도 및 출금을 정지시킨다.
[100 BTC 이상 보유 주소, 5/16 이후 보유량 27,755 BTC 늘어]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Santiment)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현재 BTC를 100개 이상 보유 중인 비트코인 주소는 1만 5,870개”라며 “이 고래들은 총 1,150만 달러의 BTC를 보유 중”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는 공급량의 59.2%를 차지하는 물량이다. 지난 12주 동안 이들 주소의 보유량은 2만 7,755 BTC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아브라카다브라, CRV 담보 대출 금리 인상 제안 부결]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매직인터넷머니(MIM) 발행 프로토콜 아브라카다브라(Abracadabra) 커뮤니티가 CRV 담보 대출을 담보 비율에 따라 구분지어 금리를 차별 적용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거버넌스 제안을 부결시켰다. 찬성 27.7%, 반대 72.2%로 집계됐다. 해당 제안은 지난 1일 발의 직후 찬성률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masterofdisaster.eth가 100억 SPELL을 사용해 반대표를 던지면서 최종 부결됐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8.7% / 숏 51.3%
1. 바이낸스: 롱 48.1% / 숏 51.9%
2. OKX: 롱 49.6% / 숏 50.4%
3. 데리비트: 롱 45.0% / 숏 55.0%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윅스 "FSN그룹 주도 $1억 투자 유치 마무리 단계"]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윅스(WEEX)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1억 달러 규모의 시드 라운드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이번 투자는 한국의 FSN그룹이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시키 프로, 홍콩 개인 대상 암호화폐 거래 지원]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시아 소재 디지털자산 관련 투자사 해시키그룹이 론칭한 규제 적격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해시키 프로가 홍콩 금융 당국의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암호화폐 기업 중 홍콩 내 개인 대상 서비스 제공 관련 라이선스를 받은 최초 사례다. 이에 따라 해시키 프로는 전문 투자자부터 개인 투자자까지 합법적인 디지털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홍콩 증권선물감독위원회(SFC)는 아직 공식 발표를 하지 않은 상태다. 지난 6월 해시키 프로는 홍콩에 라이선스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힌 바 있으며 현재 거래를 지원하는 암호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USDT, USDC다.
[바톤엑스-올린더블랙 파트너십...마켓 데이터 제공 협력]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톤엑스(Batonex)는 올린 그룹의 가상자산 리서치 브랜드 '올린더블랙'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분석을 통한 양질의 컨텐츠와 데이터 제공을 목표로 협업할 방침이다.
[업비트, SOL 스테이킹 지원]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3일 14시부터 스테이킹 지원 디지털 자산에 솔라나(SOL)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연 추정 보상률은 7%다. 스테이킹은 KYC(신원확인)와 2채널 인증을 마친 업비트 회원이 참여 가능하다.
[나우페이먼트, XEC 결제 지원]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플랫폼 나우페이먼트(NOWPayments)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캐시(XEC) 결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달러인덱스 7/7 이후 최고...102.80]
통상 비트코인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달러인덱스(DXY)가 102.80까지 오르면서 7월 7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분석 "2Q 코인베이스 현물 거래량, 36% 감소 예상"]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메사리가 코인베이스 2분기 실적 예측 보고서에서 현물 거래량이 36% 감소하고 거래 매출의 95%를 차지하는 리테일(소매) 거래량은 14%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자소득도 19%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비거래 매출이 거래 매출을 처음으로 상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바이낸스 8/4 BTC/FDUSD 및 ETH/FDUSD 거래페어 추가]
바이낸스가 8월 4일 17시(한국시간) BTC/FDUSD 및 ETH/FDUSD 거래페어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BTC
청산 규모: $2164만(롱 $1876만, 숏 $288만)
청산 비율: 롱 86.69%
2. ETH
청산 규모: $806만(롱 $736만, 숏 $70만)
청산 비율: 롱 91.25%
3. LTC
청산 규모: $430만(롱 $411만, 숏 $20만)
청산 비율: 롱 95.37%
[마이클 세일러 "BTC 현물 ETF 상장 시 기관 자금 수십억 달러 유입 예상"]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창업자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를 통해 "비트코인(BTC) 현물 ETF가 승인되면 기관 자금 수십억 달러가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ETF가 상장되더라도 투자자들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를 비트코인 프록시(대리인)로 인정할 것이다. 우리는 암호화폐 업계의 스포츠카이고, BTC 현물 ETF는 대형 유조선(super tanker)이다"라고 강조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전날 7억 5000만 달러 상당의 클래스A 보통주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블룸버그 전략가 "위험자산 전반 약세 시그널"]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loomberg Intelligence)의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이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BTC) 180일 변동성은 8월 초 약 46%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통상적으로 이는 가격 상승기에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1분기 말 이후 BTC 가격 약세가 두드러지는 것은 모든 위험자산에 대한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는 시그널일 수 있으며 상당히 우려스럽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그는 "BTC는 미국 규제 당국의 레이더망을 피하고 있는 유일한 암호화폐인 것 같다. 따라서 BTC 벤치마크가 다른 대부분의 위험자산 벤치마크를 넘어서야 하지만, 현재 가격은 그렇지 못하다"고 덧붙였다.
[니프티 운영 종료...투자유치 실패]
디크립트에 따르면 웹3.0 크리에이터 포털 니프티(Nifty)가 2일(현지시간) 갑작스럽게 문을 닫았다. 니프티는 트위터에서 “어려운 시장 상황에서 웹3.0 크리에이터를 위한 플랫폼 개발로 방향을 전환했지만 투자 유치에 실패했다"며 운영 종료 이유를 밝혔다. 니프티는 ‘매트릭스’와 ‘왕좌의 게임’ 등 인기 컨텐츠를 소재로 한 NFT를 출시해 왔으며, 지난 2021년에는 마크 큐반, 조 루빈, 코인베이스 벤처스, 대퍼 랩스 등의 투자자로부터 1,0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니프티는 제미니 산하 NFT 마켓플레이스 니프티게이트웨이와는 관련이 없다.
[알파포·코인스페이드 해커, 탈취 자금 $850만→BTC로 교환]
온체인 전문가 테이(@tayvano_)가 트위터를 통해 "최근 해킹 피해를 입은 브릿징 서비스 업체 알파포(Alphapo)와 암호화폐 월렛 코인스페이드의 도난 자금 가운데 85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가 3개 블록체인의 300개 이상 주소로 전송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약 4600 ETH가 새 이더리움 주소 125개로 전송된 뒤 다시 아발란체 네트워크로, 이후 다시 비트코인 네트워크로 이동했다. 현재 약 290 BTC가 125개의 비트코인 주소에 보관돼 있으며 각각 1~3 BTC를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전문가 잭XBT(ZachXBT)는 전날 "북한 해킹 그룹 라자루스(Lazarus)가 탈취한 2.9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흐름이 온체인에서 포착됐다"고 밝힌 바 있다. 라자루스는 하모니(ONE), 아토믹 월렛, 알파포 등을 해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ETH 코어 개발자 팀 베이코 트위터 계정 복구]
이더리움(ETH) 코어 개발자 팀 베이코(Tim Beiko)가 해킹 당한 트위터 계정 권한을 되찾았다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팀 베이코 트위터 계정이 해킹 당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월드코인 "케냐 서비스 중단...재개 위해 당국에 협력"]
더블록에 따르면 월드코인(WLD)이 케냐 정부의 사업 중단 명령에 따라 현지 서비스를 일시 중단했다고 밝혔다. 월드코인은 성명에서 "중단 기간 동안 우리는 많은 수요를 커버할 수 있는 온보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부와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협력할 것"이라며 서비스 재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앞서 케냐 내무부는 월드코인이 국민을 위협하지 않는다는 게 확실해질 때까지 사업 중단을 명령했으며 현재 독일, 영국, 프랑스 등도 월드코인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