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스테이블 플로우] 유동성, 다시 거래소로…83억 달러 '대기 자금' 포착

작성자 이미지
김서린 기자
0
1

최근 7일간 중앙화 거래소(CEX)로 83억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이 유입되며, 시장 유동성이 거래소에 집중되는 흐름이 확인됐다. 체인별로는 트론이 20억 달러 증가한 반면, 이더리움은 16억 달러 유출로 대조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부문별 주간 스테이블코인 유입 그래프 / 아르테미스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이 중앙화 거래소(CEX)에 집중되며 시장 내 대기성 자금 흐름이 강화되고 있다.

9일 기준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최근 7일간 CEX로 유입된 스테이블코인 규모는 약 83억 달러에 달해 주간 기준 최대 유입처로 집계됐다.

블록체인 부문에는 1억4040만 달러, 인프라 부문에는 7330만 달러의 스테이블코인이 유입됐다. 자산운용 부문과 실물자산 토큰화(RWA) 부문도 각각 1690만 달러, 390만 달러씩 공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디파이 부문에서는 10억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이 유출되며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브리지 부문에서도 8850만 달러가 빠져나갔고, 마켓 메이커와 MEV 부문은 각각 2530만 달러, 590만 달러 감소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자 부문에서도 1660만 달러가 줄었다.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 직접 유입되는 실질적 유동성으로 간주되며, 이들의 흐름은 투자 심리와 시장 방향성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사용된다. 특히 이번 주처럼 거래소로 유입이 집중되는 흐름은 대규모 매수 이후의 대기 구간일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월간 기준으로 보면, CEX에는 203억 달러, 디파이에는 127억 달러의 스테이블코인이 유입됐다. 이는 거래소와 디파이 양쪽 모두로 유동성이 공급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거래소 중심의 대기성 자금 흐름이 더 강하게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체인별 주간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변화 그래프 / 아르테미스

체인별로 보면, 트론이 20억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을 유입시키며 가장 큰 공급 증가를 기록했다. 이어 아발란체 C-체인은 2억540만 달러, 아비트럼은 1억1230만 달러의 공급 증가를 각각 보였다. 수이와 베이스도 각각 9850만 달러, 5860만 달러가 늘었다.

반면 이더리움은 약 16억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이 유출되며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솔라나는 4억7800만 달러, OP 메인넷은 2870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그 외 폴리곤은 1040만 달러, 맨틀은 2460만 달러씩 감소했다.

지난 7일간 스테이블코인 중 공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자산은 테더(USDT)로, 약 7억5670만 달러 규모가 새로 발행됐다. FDUSD는 7080만 달러, DAI는 6040만 달러 공급이 각각 증가했다.

반면, 가장 큰 공급 감소를 기록한 자산은 USDC로, 약 5억64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USDS 역시 5950만 달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 직접 유입되는 실질적 유동성으로 간주되며, 이들의 흐름은 투자 심리와 시장 방향성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사용된다. 특히 이번 주처럼 거래소로 유입이 집중되는 흐름은 대규모 매수 이후의 대기 구간일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0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01:53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