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관세 폭탄, 암호화폐 시장도 흔들… 투자자 불안 고조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2.10 (월) 17:42

대화 이미지 1
하트 이미지 2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발표 이후 암호화폐 시장이 변동성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관세 폭탄, 암호화폐 시장도 흔들… 투자자 불안 고조 / Tokenpost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 9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한국, 일본 등 주요 철강 수출국이 직격탄을 맞았으며, 암호화폐 시장 역시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발표 직후 비트코인(BTC) 가격은 한때 9만 4,715달러까지 하락했다가 하루 만에 0.51% 반등했다. 같은 기간 이더리움(ETH)은 0.20% 하락한 후 소폭 회복했다.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도 관세 발표 당일 0.32% 감소했지만, 다음날 0.64% 상승하며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시장 심리를 반영하는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는 46에서 43으로 하락했다. 이는 가격 반등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여전함을 시사한다.

이번 조치는 암호화폐 시장의 단기적인 변동성을 키운 것으로 보인다. 특히 관세 부과 대상국들의 경제가 영향을 받을 경우, 글로벌 유동성 축소로 이어질 수 있어 암호화폐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각 25%의 관세를,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이후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를 보류했지만, 중국과의 무역 갈등은 오히려 심화되었다. 중국 정부는 미국산 제품에 1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대응했으며, 이로 인해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된 상태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향후 반도체, 원유, 천연가스, 구리 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만약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경제 불확실성이 더욱 심화되면서 암호화폐 시장 역시 강한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암호화폐 시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글로벌 거시경제 변화는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투자 자산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국, 암호화폐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2.10 19:20:0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