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부산항만공사, AI로 항만 디지털 혁신 시동… 아시아 물류허브 굳힌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부산항만공사가 AI 전담 조직 'BPA AI 추진단'을 출범해 2030년까지의 디지털 전환 전략을 본격화했다. 항만 물류 효율화·안전강화로 아시아 물류 허브 위상을 강화할 계획이다.

 부산항만공사, AI로 항만 디지털 혁신 시동… 아시아 물류허브 굳힌다 / 연합뉴스

부산항만공사, AI로 항만 디지털 혁신 시동… 아시아 물류허브 굳힌다 / 연합뉴스

부산항만공사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항만 경쟁력 강화에 본격 나섰다. 정부가 추진 중인 ‘AI 3대 강국 도약’ 정책에 발맞춰, 자체적 AI 추진 조직을 구성하고 종합 전략 수립에 들어갔다.

부산항만공사(BPA)는 8월 18일, 인공지능 도입을 통한 항만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해 ‘BPA AI 추진단’을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모두 30명으로 구성된 새 조직은 AI 기술 접목을 통해 해양물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게 된다.

AI 추진단은 부산항의 중장기 디지털 혁신을 이끌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2030년까지의 ‘AI 추진 로드맵’을 작성하고, 각 부서에 배치된 AI 실무관 27명을 통해 부서 간 협업 체계를 공고히 할 방침이다. 추진단 단장은 경영 부사장이 맡으며, 지난 7월 새롭게 만들어진 디지털AI부서와 기획조정실이 실무 추진을 담당한다.

부산항만공사는 AI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재난 예방, 안전관리, 경영 효율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미 부산항은 ‘환적모니터링시스템(Port-i)’, ‘환적운송시스템(TSS)’, ‘전자인수도증(E-SLIP)’ 등 디지털 기반 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성을 높여왔으며, 이번 추진단 구성을 통해 인공지능을 통한 자동화와 예측 기술 고도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공공기관 차원에서 정부의 AI 산업 육성 기조에 부응하고 항만 산업 전반에 디지털 경쟁력을 심는 기반 마련으로 평가받고 있다. AI 기반의 물류 최적화, 안전 시스템 자동화 등이 성공적으로 도입될 경우, 부산항은 아시아 물류 허브로서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움직임은 향후 국내 다른 주요 항만이나 물류 거점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의 AI 산업 전략과 항만 디지털 전환 정책이 시너지를 낼 경우, 국내 해운·물류 산업 전반의 혁신 확산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15:04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8.18 15:04:1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