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정부, AI로 자연재난 조기 대응 시동…민관 협력 본격화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정부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연 재난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본격화했다. 관계부처, 연구기관, 기업이 함께 데이터 공유·기술 도입 논의에 나섰다.

 정부, AI로 자연재난 조기 대응 시동…민관 협력 본격화 / 연합뉴스

정부, AI로 자연재난 조기 대응 시동…민관 협력 본격화 / 연합뉴스

정부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자연 재난에 대한 예방과 대응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주요 부처와 연구기관, 민간 기업들이 협력해 AI 기반 재난 대응 체계 구축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8월 19일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관계 부처 및 기업, 연구기관과 간담회를 열어,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연 재난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간담회는 서울 강남구의 도시 관제센터에서 진행됐으며,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 및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폭염, 집중호우 등 극한 기상 현상이 자주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기존 재난 대응 체계가 가진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인공지능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AI는 축적된 재난 데이터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바탕으로 위험 징후를 사전에 탐지하거나, 발생 시 피해 확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날 회의에는 쿠도커뮤니케이션, 인텔리빅스, 이지스, 알체라 등 AI 기반 재난 대응 솔루션을 개발 중인 민간 기업들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 공공 연구기관들이 함께했다. 참석자들은 특히 데이터 공유 문제가 AI 기술 발전의 관건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가 재난 상황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들이 학술 및 산업적 용도로 충분히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간담회 참가자들은 데이터 품질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함께, 주요 도시의 관제 체계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시범사업 도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는 앞으로 통합적인 스마트 방재 시스템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기상 재해에 대한 사회 전반의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재난 안전 산업의 기술 고도화와 시장 확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공공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국내 AI 생태계와 재난 대응 체계를 함께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