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s
  • Hours
  • Mins
  • Secs

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울산시, 'AI 혁신관' 출범... 지방정부 디지털 행정 실험 시동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울산시가 AI 기반 행정 혁신을 위해 전국 최초로 'AI 혁신관' 조직을 신설하고 전담 공무원을 지정했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 차원의 디지털 전환 실험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울산시, 'AI 혁신관' 출범... 지방정부 디지털 행정 실험 시동 / 연합뉴스

울산시, 'AI 혁신관' 출범... 지방정부 디지털 행정 실험 시동 / 연합뉴스

울산시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행정 혁신에 속도를 내기 위해 전담 공무원 조직인 'AI 혁신관'을 출범시켰다.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이례적으로 AI를 중심에 둔 정책 실험에 나선 셈이다.

울산시는 9월 5일 시청 대강당에서 공무원 10명을 'AI 혁신관'으로 공식 지정하고, 이들에게 역할 수행에 필요한 지정서를 수여했다. 이번에 지정된 인력은 시청 각 부서에서 체납 데이터 분석, 업무 자동화, 스마트관광 기획, 전략감사, 지역 제조업 기반 디지털 전환(제조DNA), AI 인재 양성 같은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6급 이하 공무원들로 구성됐다.

이번 조치를 통해 울산시는 AI 관련 실무를 지원할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이들이 소속된 각 부서에서 AI 기반 혁신을 실질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이들에게는 'AI 수당'이라는 명칭의 별도 보상이 매달 지급된다. 시는 기존 중요 직무수당 체계를 조정해 확보한 재원을 통해 이 수당을 마련했고, 이는 업무 동기 부여와 전문성 강화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는 설명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AI 혁신관 출범과 더불어 전 직원 대상으로 AI 마인드 확산을 위한 특강도 진행됐다. KT 정영조 상무가 연단에 올라 국내외 공공기관의 AI 활용 사례와 정부 차원의 AI 정책 전환 방향을 설명하며, 공무원이 AI 시대에 갖춰야 할 역할과 자세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울산시 김두겸 시장과 약 350여 명의 직원이 강연에 참석해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김 시장은 AI 혁신관 제도를 통해 울산시가 'AI 수도'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을 도입해 행정 전반에 AI 활용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 같은 시도의 배경에는 정부 차원의 디지털 플랫폼 기반 행정 전환 정책과 과학기술기반 혁신 행정 요구가 맞물려 있다. 울산시의 이번 행보가 다른 지방자치단체로 확산될 경우, 지방정부의 인공지능 기반 행정 실험이 하나의 주요 흐름으로 자리잡을 가능성도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19:11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9.05 19:11:5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