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예금보험공사, '잘못 송금된 돈' 데이터로 합성데이터 만든다…AI 시대 국민에 첫 개방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예금보험공사가 실수 송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제거한 합성데이터를 개발해 국민에게 개방하기로 했다. 공공기관 최초로 금융 데이터를 AI 학습에 활용할 수 있게 만든 시도다.

 예금보험공사, '잘못 송금된 돈' 데이터로 합성데이터 만든다…AI 시대 국민에 첫 개방 / 연합뉴스

예금보험공사, '잘못 송금된 돈' 데이터로 합성데이터 만든다…AI 시대 국민에 첫 개방 / 연합뉴스

예금보험공사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잘못 보낸 돈 되찾기 서비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합성데이터를 만들고, 이를 국민에게 개방하기로 했다. 실제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고품질 데이터를 제공하려는 첫 시도다.

예금보험공사는 9월 22일, 지난 2021년부터 운영해 온 ‘되찾기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학습에 활용 가능한 합성데이터를 제작해 공공에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되찾기 서비스’는 송금자가 실수로 잘못 보낸 돈을 다시 돌려받을 수 있도록 돕는 제도로, 시행 이후 약 58만여 건의 사례가 접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송금자의 나이, 성별, 송금 금액 등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합성데이터는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의 자료로, 원본 없이도 유사한 분석 결과를 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개인 정보는 제외하면서도 분석 효용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연구나 금융 서비스 개발과 같은 민·관의 데이터 활용수요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개발은 공공기관으로는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방대한 금융 실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만큼 활용 가치는 높다. 예보는 이달 중 해당 합성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정식 개방하고, 별도로 공공기관이 데이터를 공유하는 ‘공동활용데이터 등록관리시스템’에도 등록할 계획이다.

예금보험공사는 이번 조치에 대해 "공공기관으로서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국민 누구나 데이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AI 시대에 걸맞은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발전적으로 개방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금융 분야는 물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에서의 데이터 접근성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한 공공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는 새로운 모델로 자리 잡을 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18:34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9.22 18:35:0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