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베이스(Base), 솔라나 눌렀다…콘텐츠 토큰 폭발에 하루 10만 개 생성

프로필
류하진 기자
댓글 4
좋아요 비화설화 5

코인베이스의 레이어2 체인 베이스가 콘텐츠 토큰 플랫폼 조라 덕분에 하루 10만 개의 신규 토큰을 발행하며 솔라나를 제쳤다. 전문가들은 투기성 과열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베이스(Base), 솔라나 눌렀다…콘텐츠 토큰 폭발에 하루 10만 개 생성 / TokenPost.ai

베이스(Base), 솔라나 눌렀다…콘텐츠 토큰 폭발에 하루 10만 개 생성 / TokenPost.ai

코인베이스의 레이어2 체인인 베이스(Base)가 최근 솔라나(SOL)를 제치고 하루 기준 신규 토큰 발행량에서 선두에 올랐다. 이는 콘텐츠 기반 토큰 플랫폼 조라(Zora) 덕분으로 풀이되며, 일각에서는 이러한 흐름이 투기성 자산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듄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베이스 네트워크에서는 지난 7월 27일부터 이틀간 무려 10만 개 이상의 신규 토큰이 생성됐다. 이 중 대부분은 조라의 '콘텐츠 코인(Content Coin)' 발행 기능을 통해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그간 하루 기준 토큰 발행량 경쟁을 주도해온 펌프펀(Pump.fun), 렛츠봉크(LetsBonk) 등 솔라나 기반 프로젝트들은 같은 기간 훨씬 적은 수의 토큰을 발행하는 데 그쳤다.

조라는 사용자들이 이미지나 글, 음악 등 콘텐츠를 NFT와 유사한 구조의 토큰으로 발행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로, 지난 4월 에어드랍 이후 활동량이 급증하며 토큰화된 콘텐츠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밈코인’이나 예술 작품을 넘어서 소셜 미디어 콘텐츠, 음악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실시간으로 토큰화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의문을 제기한다. 블록체인 리서치 업체 TK 리서치에 따르면, 조라 플랫폼 이용자 가운데 약 93%는 단순 거래자이며, 실질적 창작자는 6% 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기능 사용자는 1%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에서 ‘토큰 통한 창작 생태계’ 조성이 아직은 요원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공지능(AI) 아티스트 스털링 크리스핀은 좀 더 노골적인 비판을 제기했다. 그는 조라에서 발행되는 수많은 토큰을 “유동성이 희박한 투기푸드(Shitcoin)”으로 규정지으며, “이러한 토큰은 결국 몇몇 유저가 다수의 손실을 전제로 이익을 취하는 제로섬 게임”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암호화된 가면을 쓴 투기판에 지나지 않으며, AI, 밈, 음악, 창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해도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베이스를 총괄한 제시 폴락은 정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기존 웹2 플랫폼에서는 창작자 가치를 정당하게 보상받기 어려웠지만, 콘텐츠 토큰화를 통해 자산화가 가능해졌다”며, “코인은 디지털 콘텐츠의 가치를 재정의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현상은 단순한 단기 유행에 그칠지, 진정한 ‘콘텐츠 자산화’ 전환점이 될지를 가를 중요한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조라와 베이스의 생태계가 투기가 아닌 실질적 창작과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발전할 수 있는지가 향후 관건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4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릴라당

04:55

등급

가즈아리가또

00:25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7.31 04:55:5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07.30 21:17:3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7.30 21:08:5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7.30 20:32:5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