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크레딕스, 62억 원 규모 해킹 피해 전액 회수…해커와 협상 타결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크레딕스가 약 62억 원 규모의 해킹 피해를 극적인 협상 끝에 회수하기로 해 업계에 회복 가능성의 선례를 남겼다.

 크레딕스, 62억 원 규모 해킹 피해 전액 회수…해커와 협상 타결 / TokenPost.ai

크레딕스, 62억 원 규모 해킹 피해 전액 회수…해커와 협상 타결 / TokenPost.ai

크립토 자산 인프라 프로토콜 크레딕스(CrediX)가 최근 발생한 약 450만 달러(약 62억 5,500만 원) 규모의 해킹 사고와 관련해 공격자와 극적인 협상 타결에 성공하며 도난당한 자산을 전부 회수하기로 했다. 이는 암호화폐 범죄로 피해를 입은 사용자들에게 회복 가능성의 신호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사건은 지난 월요일, 한 익명의 해커가 프라이버시 중심 믹싱 서비스 토네이도 캐시(Tornado Cash)에서 자금을 조달한 지갑을 통해 이더리움(ETH) 네트워크 상에 디지털 자산을 브릿징하면서 발생했다. 블록체인 보안 업체 사이버스(Cyvers)가 처음 이 사실을 포착하며, 피해 금액은 약 450만 달러(약 62억 5,500만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건 발생 후 불과 이틀 만인 오늘, 크레딕스 측은 공식 X 계정을 통해 공격자와 개인적 합의를 이뤘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해커는 크레딕스 트레저리(재무부)로부터 일정 금액을 지급받는 조건으로 도난 자산 전액을 자발적으로 반환하기로 동의했다. 크레딕스는 "공격자와 성공적으로 협상에 도달했으며, 향후 24~48시간 안에 자산이 반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프로토콜은 이번에 회수한 자산을 직접 피해 사용자 주소에 에어드롭 형태로 분배할 계획이다. 전체 절차는 48시간 이내에 마무리될 예정이며, 플랫폼 사용자들의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번 복구 조치는 블록체인 업계 전반에 보안 사고 이후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선례를 남겼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동시에 해커와의 사적 협상이 윤리·도덕적·법적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는 만큼, 향후 유사 사안에서 어떤 기준이 정립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19:26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8.05 19:26:3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