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도지코인(DOGE), 큐빅의 다음 51% 공격 타깃으로 지목…업계 긴장 고조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5

모네로(XMR) 네트워크에 이어 큐빅 커뮤니티가 도지코인(DOGE)을 51% 공격 타깃으로 선정하며 업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도지코인(DOGE), 큐빅의 다음 51% 공격 타깃으로 지목…업계 긴장 고조 / TokenPost.ai

도지코인(DOGE), 큐빅의 다음 51% 공격 타깃으로 지목…업계 긴장 고조 / TokenPost.ai

모네로(XMR) 네트워크에 51% 공격을 가해 주도권을 장악했던 AI 특화 블록체인 프로젝트 큐빅(Qubic) 커뮤니티가 다음 타깃으로 도지코인(DOGE)을 선택했다. 해당 커뮤니티는 시장 시가총액 35조 원 이상을 자랑하는 밈코인 1순위를 새로운 공격 대상으로 지목하며, 또 한 차례의 파장을 예고했다.

큐빅의 설립자 세르게이 이반체글로(Sergey Ivancheglo)는 최근 커뮤니티에 암호화폐 도지코인(DOGE), 카스파(KAS), 지캐시(ZEC) 중에서 어떤 ASIC(애플리케이션 특화집적회로) 기반 작업증명(PoW) 블록체인을 공격할지를 투표에 부쳤다. 이반체글로는 ‘컴프롬비욘드(Come-from-Beyond)’라는 온라인 활동명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는 “커뮤니티의 선택은 도지코인”이라고 사회관계망서비스 X를 통해 지난 일요일 투표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투표에서 도지코인은 300표 이상을 획득하며 다른 후보들을 압도했다. 도지코인은 현재 시가총액 기준 350억 달러(약 48조 6,500억 원) 이상으로, 커뮤니티 규모와 생태계가 탄탄한 프로젝트다. 하지만 동시에 많은 PoW 기반 네트워크 중 하나로서, 대규모 해시파워를 가진 외부 주체의 개입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올해 초 큐빅은 모네로(XMR) 네트워크에서 51% 공격에 성공하며 네트워크의 컴퓨팅 권한을 잠시 장악한 바 있다. 단순한 해킹 행위를 넘어, 이를 “기술 실험”으로 포장하고 타 프로젝트로 공격 대상을 전환하려는 모습은 업계 전반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ASIC 채굴이 허용된 PoW 블록체인은 이 같은 공격에 상대적으로 열려 있기 때문에, 큐빅의 다음 행보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반체글로는 2010년 초반 아이오타(IOTA) 개발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로, 이후 큐빅을 중심으로 탈중앙화 AI 및 컴퓨팅과 관련된 활동을 펼쳐왔다. 큐빅 측은 51% 공격을 “확장 가능한 컴퓨팅 파워 시연”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블록체인 생태계의 근본적인 신뢰 구조를 공격하는 위험 요소로 간주하는 시각이 더 크다.

도지코인이 큐빅의 공격 목록에 이름을 올린 현 시점에서, 커뮤니티와 개발자들의 대응이 주목된다. PoW 기반 코인의 보안성과 공격 방어 전략이 다시금 핵심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5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디스나

10:05

등급

사계절

09:56

등급

WayneKIM

09:41

등급

토큰부자

08:38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8.18 10:05:5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8.18 09:56:5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8.18 08:38:44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